학회지에 논문 추가 게재, 과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2007도1554)


학회지에 논문 추가 게재, 과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2007도1554)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국립대학교 전임교원 공채 과정에서 발생한 논란을 다루고 있습니다. 학과장인 피고인 1은 지원자 피고인 2의 부탁을 받아 이미 논문접수가 마감된 학회지에 피고인 2의 논문을 게재하도록 도왔습니다. 이후 연구실적심사의 기준을 강화하자고 제안한 것도 이 사건의 주요 내용입니다. 피고인 2는 이 논문을 연구물발표실적에 포함시켜 최종 선발되었습니다. 그러나 피고인 2의 논문이 표절이나 중복 게재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사건이 복잡해졌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 1의 행위가 다소 부적절하다고 보지만, 이는 공채에 지원하려는 피고인 2에게 유리한 결과가 되었다 하더라도 공정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 1의 제안은 학과회의에서 적정 수준으로 변경되었으며, 피고인 2는 자신의 노력에 의한 연구결과물로 심사기준을 충족하고 이후 전형 절차를 거쳐 최종 선발된 것이므로,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해 원심법원으로 환송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 1은 자신의 행위가 다소 부적절하다고 인정했지만, 이는 공채에 지원하려는 피고인 2에게 유리한 결과가 되었다 하더라도 공정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피고인 2는 자신의 노력에 의한 연구결과물로 심사기준을 충족하고 이후 전형 절차를 거쳐 최종 선발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피고인들은 자신의 행위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로는 피고인 1이 피고인 2의 부탁을 받아 이미 논문접수가 마감된 학회지에 피고인 2의 논문을 게재하도록 도운 사실과, 피고인 1이 연구실적심사의 기준을 강화하자고 제안한 사실이 있습니다. 또한, 피고인 2가 이 논문을 연구물발표실적에 포함시켜 최종 선발된 사실도 중요한 증거로 작용했습니다. 그러나 학교 차원의 검증 결과 피고인 2의 논문이 표절이나 중복 게재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면서 이 부분은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이 사건에서 법원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은, 피고인 1의 행위가 공정한 경우에 해당하고 피고인 2가 자신의 노력에 의한 연구결과물로 심사기준을 충족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만약 당신이 비슷한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오인, 착각, 부지를 일으키게 하여 그 오인, 착각, 부지를 이용하는 행위를 한다면, 이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행위가 구체적인 직무집행을 저지하거나 현실적으로 곤란하게 하는 데까지 이르지 않은 경우에 한합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은 종종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단순히 부적절한 행위나 도움만으로 성립한다고 오해합니다. 그러나 법원은 행위가 상대방에게 오인, 착각, 부지를 일으키게 하여 그 오인, 착각, 부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대방이 이에 따라 그릇된 행위나 처분을 해야만 이 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단순한 도움이나 부적절한 행위만으로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 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해 원심법원으로 환송했습니다. 따라서 피고인들에 대한 구체적인 처벌 수위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법원이 다시 사건을 심사하여 피고인들의 행위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피고인들은 처벌받지 않을 것입니다. 반면, 법원이 피고인들의 행위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피고인들은 이에 따른 처벌을 받을 것입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의 성립 요건에 대한 법원의 명확한 기준을 제공했습니다. 법원은 행위가 상대방에게 오인, 착각, 부지를 일으키게 하여 그 오인, 착각, 부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대방이 이에 따라 그릇된 행위나 처분을 해야만 이 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공무집행방해죄와 관련된 법적 판단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비슷한 사건에서 법원의 판단에 중요한 지침이 될 것입니다. 또한, 공정한 절차를 통해 연구실적 심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회적 메시지도 전달되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법원은 이 판례를 바탕으로 사건의 구체적인 상황을 분석하여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법원은 행위가 상대방에게 오인, 착각, 부지를 일으키게 하여 그 오인, 착각, 부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대방이 이에 따라 그릇된 행위나 처분을 해야만 이 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할 것입니다. 또한, 공정한 절차를 통해 연구실적 심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회적 기준도 강화될 것입니다. 따라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법원은 이 판례를 참고하여 공정한 심사 절차를 보장하고, 부적절한 행위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받는지를 판단할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