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돈 횡령 혐의로 고발, 결국 벌금 200만 원 선고 (2009노552)


회사 돈 횡령 혐의로 고발, 결국 벌금 200만 원 선고 (2009노552)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피고인이 채권추심업체에서 근무하면서 발생한 횡령 및 협박 혐의 사건입니다. 피고인은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채권추심업체인 공소외 1 주식회사의 수원·서경 지사장으로 근무하던 중, 채권자로부터 추심의뢰를 받아 추심금을 보관하는 지위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피고인은 이 추심금을 임의로 소비하여 총 47,041,600원을 횡령하고, 이후 횡령행위가 적발되자 회사의 비리를 고발한다는 내용의 문서를 회사 본사에 송부하며 협박을 시도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의 횡령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추심금을 보관하는 지위에 있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채권추심업체의 본사와 지사 간의 권한 분리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 피고인이 본사로부터 일정 급여를 받아온 점, 추심금 통장의 관리가 본사에서 이루어졌다는 점 등을 종합하여 피고인이 추심금을 보관하는 지위에 있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협박 혐의에 대해서는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회사 대표이사인 피해자에게 회사의 비리를 폭로하겠다는 협박을 가한 것이 법인에 대한 협박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횡령 혐의에 대해 본사에서 추심금 통장을 관리하고, 피고인이 사용처 등을 보고한 뒤 결재를 받아 사용한 것일 뿐 불법영득의사도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협박 혐의에 대해 피해자로 적시된 공소외 4를 직접적으로 협박한 사실이 없고, 피해자가 자신의 재산이나 신체에 대한 협박으로 느끼지 않았다는 점에서 협박죄의 구성요건을 충족하지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로는 피고인이 추심금을 임의로 소비한 증거와, 피고인이 회사 본사에 비리를 폭로하겠다는 내용의 문서를 송부한 사실이 있었습니다. 또한, 피해자가 원심 법정에서 피고인의 행위를 협박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진술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피해자에게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이 사건과 유사한 상황에서 추심금을 임의로 소비하거나, 회사 비리를 폭로하겠다는 협박을 가한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추심금을 보관하는 지위에 있지 않더라도, 불법영득의사가 있다면 횡령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법인에 대한 협박이 그 대표자나 대리인에게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다면 협박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은 흔히 횡령죄와 협박죄가 쉽게 성립하지 않는다고 오해합니다. 그러나 횡령죄는 불법영득의사가 있으면 성립할 수 있으며, 협박죄는 피해자가 공포심을 느끼지 않더라도 법인에 대한 협박이 그 대표자나 대리인에게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다면 성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법인에 대한 협박이 개인의 재산이나 신체에 대한 협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도 자주 오해하는 부분입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법원은 피고인에게 벌금 2,000,000원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이 위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5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한, 벌금 상당액의 가납을 명했습니다. 횡령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지만, 협박 혐의에 대해 유죄를 선고한 점을 고려한 양형입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법인에 대한 협박이 그 대표자나 대리인에게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음을 명확히 한 점에서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횡령죄의 성립 여부에 대한 법적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한 점에서 법원 내에서의 판결 기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추심금 관리와 관련된 업계에서는 이 판례를 통해 법적 책임을 더 명확히 인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법원은 이 판례를 참고하여 횡령죄와 협박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특히, 추심금 관리와 관련된 업계에서는 법적 책임을 더 명확히 인식하고, 내부적인 권한 분리를 명확히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법인에 대한 협박이 그 대표자나 대리인에게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내부적인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