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의 단속에 겁먹어 거짓말한 선장, 벌금 300만원 (2008고정522)**


**해양경찰의 단속에 겁먹어 거짓말한 선장, 벌금 300만원 (2008고정522)**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제주시 마라도 근처 해상에서 벌어진 일입니다. 사건의 주인공인 김봉준 씨는 무허가 대형트롤어구를 사용해 불법 어업을 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김 씨는 자신의 어선인 □□호를 선주 겸 선장으로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김 씨는 2008년 6월 12일 밤 10시경, 제주시 마라도 남서방 약 38마일 해상에서 허가를 받지 않은 대형트롤어구를 사용해 잡어를 6상자 포획했습니다. 이 행위는 무허가 어업에 해당하며, 법적으로 금지된 행동입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김 씨가 무허가 대형트롤어구를 사용해 불법 어업을 한 사실에 대해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법원은 김 씨가 허가된 어구를 사용하지 않고, 무허가 어구를 사용해 불법 어업을 한 사실이 명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김 씨가 해양경찰의 추궁에 겁먹어 거짓말을 했다는 점도 중요한 판단 요소였습니다. 법원은 김 씨의 주장이 증거와 일치하지 않으며, 그가 거짓말을 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김 씨는 자신이 예망줄이 PP로프로 된 그물, 전개판 및 겔로스 장치를 이용한 대형트롤어업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단지 예망줄이 18mm 와이어로 된 그물을 이용하여 허가된 외끌이기선저인망 조업을 하다가 고리 부분이 벗겨져 예망줄과 그물 부분이 바다에 빠졌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그는 해양경찰의 추궁에 겁이 나서 ‘그물코규격위반을 감추기 위하여 그물을 절단하였다’고 거짓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은 김 씨의 주장이 증거와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무궁화 ○○호(단속선)가 인양한 예망줄, 전개판이 부착된 그물은 절단 부분이 □□호에 남아있던 부분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점이 결정적인 증거였습니다. 또한, □□호에는 대형트롤어업에 사용되는 전개판을 올릴 수 있는 겔로스 장치가 설치되어 있었고, 김 씨가 인양한 원통형그물에는 예망줄이 없으며, 조업 중에 물에 빠진 것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새 것이었으며, 김 씨가 스스로 다시 물에 빠뜨렸다는 점도 중요한 증거였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만약 당신이 무허가 어업을 하거나, 법령을 위반하는 어업을 한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무허가 어업은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법적으로 엄격히 금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어업을 하려면 반드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허가 없이 어업을 하는 것은 범죄로 간주되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많은 사람들이 무허가 어업이 단순히 규정을 어기는 정도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무허가 어업은 생태계 균형을 파괴하고, 어류 자원을 고갈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무허가 어업은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허가 어업을 금지하는 법령은 매우 중요합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법원은 김 씨에게 벌금 300만원을 선고했습니다. 만약 김 씨가 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으면, 5만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압수된 증거물인 증제2호는 몰수되었으며, 벌금 상당액의 가납을 명받았습니다. 이러한 처벌은 무허가 어업의 심각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무허가 어업에 대한 법적 처벌의 엄격성을 강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법원은 무허가 어업이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의 주요 원인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또한, 이 판례는 어업 관련 법령을 준수하는 데 중요한 교훈을 제공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도 무허가 어업에 대한 법적 처벌은 엄격하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법원은 무허가 어업이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의 주요 원인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할 것입니다. 따라서, 어업을 하려면 반드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무허가 어업을 하는 것은 범죄로 간주되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