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인척의 거짓 약속에 속은 비례대표 후보, 30억 원의 대가 (2008노2864)


대통령 인척의 거짓 약속에 속은 비례대표 후보, 30억 원의 대가 (2008노2864)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악용한 사기 사건을 다룹니다. 피고인 1은 이명박 대통령의 처형이라는 신분을 내세워 국회의원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의 배우자에게 30억 원의 기부행위를 요구했습니다. 이 요구가 거절되자, 재력이 있는 피고인 3에게도 같은 수법으로 정당의 후보자 추천과 관련한 금품제공을 요구하여 3회에 걸쳐 합계 30억 3,000만 원을 교부받았습니다. 그러나 비례대표 후보자로 추천받지 못한 피고인 3으로부터 반환을 요구받자, 피고인 1은 또 다른 피해자들로부터 사기업에 취직시켜 줄 수 있다거나 공기업 감사 임명을 알선해 줄 수 있는 것처럼 기망하여 합계 2억 원을 교부받아 편취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 1의 행위가 공직선거법 제47조의2 제1항과 제113조 제1항에 위배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 1은 마치 이명박 대통령의 약속이 있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자로 추천받을 수 있는 것처럼 거짓말하면서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내세워 국회의원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의 배우자에게 30억 원의 기부행위를 요구하였습니다. 또한, 피고인 1은 피고인 3으로부터 정당의 후보자 추천과 관련한 금품제공을 요구하여 3회에 걸쳐 합계 30억 3,000만 원을 교부받았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공직선거법의 입법취지를 크게 훼손하였고, 여러 피해자가 다액의 경제적 손해를 입었으며, 공기업 인사와 관련한 공무원 직무의 공정성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현저히 훼손되었으므로 엄히 처벌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 1은 공소외 1에 대한 기부행위 요구의 점에 대하여 공소외 1로부터 공소외 2의 출마에 대하여 도와달라는 부탁을 받은 사실은 있으나 그와 관련하여 공소외 1에게 금품을 요구한 사실이 없음에도, 원심은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피고인 1은 정당의 후보자 추천 관련 금품수수의 점에 대하여 2008. 3. 7. 받은 10억 3,000만 원은 정당의 후보자 추천과 관련하여 수수된 것이 아니라 ○○회에 대한 기부금 등의 명목으로 수수된 것이므로 이를 공직선거법 제47조의2 위반죄로 의율할 수 없음에도, 원심은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사실을 오인하거나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는 피고인 1이 공소외 1, 공소외 3, 공소외 4로부터 금품을 교부받는 과정에서 사용한 기망 수단과 피고인 1의 신분 내세우기였습니다. 예를 들어, 피고인 1은 공소외 1에게 "이명박 대통령이 대통령선거기간 무렵 ○○회 간부들이 부탁을 하니까 나중에 ○○회 측에게 직능대표로 국회의원 1석을 주기로 약속한 적이 있다"는 취지로 말하면서, 공소외 2의 나이가 맞으니 ○○회의 추천서를 받으면 ○○○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자로 추천받을 수 있는데, ○○회의 추천서를 받는 등의 일을 진행하는 데에 돈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피고인 1은 공소외 3, 공소외 4로부터 공기업 감사 임명 알선 수재의 점에 대하여도 기망 행위를 통해 금품을 편취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이 사건은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악용한 사기 사건이므로, 일반인이 비슷한 상황에서 처벌받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과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후보자 추천과 관련한 금품을 수수하거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직선거와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만으로도 금품을 수수하거나 기부행위를 요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사건은 피고인 1이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악용하여 금품을 수수하거나 기부행위를 요구한 사례입니다. 따라서,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만으로도 금품을 수수하거나 기부행위를 요구할 수 있다는 오해는 잘못된 것입니다. 공직선거와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피고인 1은 원심 판시 제2, 3의 각 죄에 대하여 징역 2년, 원심 판시 제4 내지 제6의 각 죄에 대하여 징역 1년을 선고받았습니다. 피고인 2는 원심 판시 제1, 제5, 제6의 각 죄에 대하여 징역 8월, 원심 판시 제3의 죄에 대하여 징역 10월을 선고받았습니다. 피고인 3은 징역 1년을 선고받았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연령, 성행, 환경, 전력, 범행경위, 범행 후의 정황 등 기록에 나타난 양형 요소가 되는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형량을 정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공직선거와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는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웠습니다. 또한,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악용한 사기 사건이 공직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판례는 공직선거와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는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웠습니다. 또한,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악용한 사기 사건이 공직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공직선거와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악용한 사기 사건이 공직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공직선거와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대통령의 인척이라는 신분을 악용한 사기 사건이 공직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공직선거와 관련된 금품 수수나 기부행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