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민원실에서 행패 부린 사람들이 벌금 100만 원을 받았대요! (2008고정1746)


경찰 민원실에서 행패 부린 사람들이 벌금 100만 원을 받았대요! (2008고정1746)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2008년 7월 29일, 두 명의 사람들이 충남지방경찰청 민원실에 찾아갔습니다. 이들은 이전에도 경찰청에 진정서와 탄원서를 제출했지만, 제대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경찰관들에게 사건의 진행 절차와 내사 종결 사유에 대해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경찰관들이 그들의 요구에 답변하지 않자, 이들은 경찰관들에게 욕설을 퍼부으며 신체에 위해를 가할 듯한 협박을 하고, 큰 소리를 지르며 행패를 부렸습니다. 이 모든 일이 약 1시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경찰관들의 수사관련 업무를 방해한 것으로, 결국 두 명 모두 벌금형에 처해졌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이 사건에서 두 명의 피고인들이 경찰관들의 업무를 방해하고, 욕설을 퍼부으며 협박한 행위를 '공무집행방해'로 판단했습니다. '공무집행방해'는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법원은 이 행위가 공무원의 업무를 심각하게 방해했기 때문에, 피고인들에게 각 1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피고인들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이를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기로 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들은 자신이 경찰관들의 업무를 방해한 것은 맞지만, 이는 경찰관이 자신의 진정서와 탄원서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아서 생긴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경찰관들이 자신의 요구에 답변하지 않고, 오히려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화가 나서 행동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러한 주장이 공무집행방해죄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이 이 사건을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로 삼은 것은 피고인들의 법정진술과 증인들의 법정진술,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검증결과였습니다. 이 증거들은 피고인들이 경찰관들에게 욕설을 퍼부르고, 협박하며, 큰 소리를 지르며 행패를 부린 사실과, 이 행위가 경찰관들의 업무를 방해한 것을 명확히 증명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그렇습니다.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는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찰관이 교통 단속을 할 때, 이를 방해하거나 욕설을 퍼부리면, 이는 '공무집행방해'죄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는 피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많은 사람들이 '공무집행방해'죄가 단순히 공무원에게 욕설을 퍼부르는 것만을 의미한다고 오해합니다. 그러나 '공무집행방해'죄는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방해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협박하거나, 물건을 파괴하는 행위도 '공무집행방해'죄가 될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법원은 이 사건에서 피고인들에게 각 1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피고인들이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이를 1일로 환산한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기로 했습니다. 이 판결은 피고인들이 경찰관들의 업무를 방해한 행위가 심각했음을 반영한 것입니다. 또한, 피고인들에게 미결구금일수도 노역장 유치기간에 산입되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 엄격한 처벌을 내리는 법원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를 예방하고, 공무원의 직무 수행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판례는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 법적으로 엄격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사회에 알립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길 경우, 법원은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 엄격한 처벌을 내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공무원의 직무 수행을 보호하고, 공무집행방해죄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는 피해야 하며, 이를 통해 법적 처벌을 피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