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후보 지지도를 사기 위해 돈을 준 후보자에게 벌금 300만 원? 이 사건, 당신도 쉽게 범할 수 있는 선거법 위반 (2006노447)


당신의 후보 지지도를 사기 위해 돈을 준 후보자에게 벌금 300만 원? 이 사건, 당신도 쉽게 범할 수 있는 선거법 위반 (2006노447)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2006년 경북 영양군 군수 선거와 관련된 선거법 위반 사건입니다. 피고인은 당시 군수 후보로 출마한 인물로, 선거운동 과정에서 여러 번의 호별방문(선거구민의 집을 직접 방문해 지지를 호소하는 행위)을 했습니다. 문제는 이 호별방문이 공직선거법에서 금지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문제가 된 것입니다. 특히, 피고인은 일부 선거구민의 집을 방문할 때, 그 집이 아닌 근처의 농경지(마늘밭, 고추밭 등)에서 인사를 나눈 경우도 있어 논란이 되었습니다. 또한, 피고인은 선거사무실에서 야성 정씨 종손에게 300만 원을 제공하고, 추가로 700만 원을 더 주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는 혐의도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증거 부족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대법원은 원심(대구지방법원 영덕지원)에서 유죄로 판결된 호별방문 부분 중 일부를 파기하고, 벌금 300만 원으로 줄였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공소외 1, 2, 3, 4의 집을 방문한 행위는 호별방문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피방문자가 부재중이거나 대문 밖에서 인사를 나눈 경우라도 호별방문의 성립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피고인이 농경지(마늘밭, 고추밭 등)에서 인사를 나눈 행위는 '공개된 장소'로 보아 호별방문에 해당하지 않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선거운동 관련 금품제공 혐의는 증거 부족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공소외 6의 진술이 신뢰할 수 없다는 판단으로, 이 부분은 유죄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습니다. 1. 호별방문 혐의에 대해: - 공소외 1의 담배건조장, 공소외 2의 집 앞 골목길, 공소외 4의 집 마당에서 인사를 나눈 것은 '연속적인' 호별방문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 공소외 3의 집을 방문한 적 없으며, 마늘밭에서 일하는 공소외 4에게 인사를 한 사실이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2. 금품제공 혐의에 대해: - 공소외 8에게 300만 원을 제공하거나 추가로 700만 원을 주겠다는 의사를 표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 공소외 6의 진술은 신빙성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호별방문 혐의에 있어서는, 원심 법원이 작성한 현장검증조서와 공소외 1, 2, 3, 4의 검찰 진술이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습니다. 법원은 이 증거들을 종합해 피고인이 호별방문을 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금품제공 혐의에 있어서는, 공소외 6의 증인신문조서 등본의 진술기재가 유일한 직접 증거였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공소외 6의 진술에 일관성이 없고, 범행 일자를 제대로 특정하지 못했으며, 경험칙에 비추어 수긍하기 어려운 점 등이 있어 이 진술을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당신이 선거운동 과정에서 호별방문이나 금품제공 등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는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공직선거법 제106조는 호별방문을 금지하고 있으며, 제255조는 금품제공 등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호별방문은 '선거구민의 집을 방문해 지지를 호소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대문 밖이나 근처 농경지에서 인사를 나누는 것도 호별방문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금품제공은 후보자나 선거운동원이 선거구민에게 금전이나 재물을 제공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선거운동 과정에서 이 같은 행위를 하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1. 호별방문은 반드시 집 안에 들어가지 않아도 성립한다: - 많은 사람들이 호별방문은 반드시 선거구민의 집 안에 들어가야 성립한다고 오해합니다. - 하지만, 대문 밖이나 근처 농경지에서 인사를 나누는 것도 호별방문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2. 금품제공은 반드시 현금이어야 한다: - 많은 사람들이 금품제공은 반드시 현금을 제공해야 한다고 오해합니다. - 하지만, 재물(물품, 서비스 등)도 금품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3. 선거운동과 무관한 행위도 처벌받을 수 있다: - 많은 사람들이 선거운동과 무관한 행위는 처벌받지 않는다고 오해합니다. - 하지만, 선거운동과 무관한 행위라도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벌금 300만 원의 처벌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학교법인 운영 등 지역사회에 기여한 점, 별다른 범죄전력이 없는 점, 잘못을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 등을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했습니다. 하지만, 피고인이 장기간 동안 호별방문을 통해 선거분위기를 혼탁하게 하고 선거의 공정을 해친 점, 이러한 위반행위가 선거결과에 미친 영향이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벌금 300만 원의 처벌을 결정했습니다. 만약 피고인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면, 징역 1년의 처벌을 받았을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이 원심에서 유죄로 판결된 부분 중 일부를 파기하고 벌금 300만 원으로 줄였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선거운동 과정에서 호별방문이나 금품제공 등 공직선거법 위반 행위에 대한 법원의 태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호별방문이 '연속적으로' 두 집 이상을 방문하는 경우에도 성립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금품제공 혐의는 증거 부족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법원은 금품제공 행위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는 행위임을 강조했습니다. 이 판례는 선거운동 과정에서 공직선거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불법 또는 탈법적 선거운동에 대한 엄정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 판례는 선거운동 과정에서 호별방문이나 금품제공 등 공직선거법 위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선 법원의 엄격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도 선거운동 과정에서 호별방문이나 금품제공 등 공직선거법 위반 행위가 발생하면, 법원은 이 판례를 참고해 엄격하게 판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호별방문의 '연속성'이나 '장소' 등을 고려해 호별방문의 성립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또한, 금품제공 혐의는 증거의 신빙성 등을 고려해 판단할 것입니다. 따라서, 선거운동 과정에서 공직선거법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법원의 엄격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호별방문이나 금품제공 등 공직선거법 위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선, 법원의 엄격한 판단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