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페이지에는 변호사가 범행 은폐에 깊숙이 관여한 충격적인 사건 (2012노504)에 대한 전문적이고 자세한 글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변호사가 범행 은폐에 깊숙이 관여한 충격적인 사건 (2012노504)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변호사 김00이 사기범 김01과 함께 범행을 은폐하려던 충격적인 이야기입니다. 김01은 사기범으로 구속되었지만, 자신이 범행을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허위자백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김00 변호사는 김01의 변호인으로 나서서 김01의 허위자백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김01은 김00 변호사에게 합의금 1억 원을 지급하겠다는 조건으로 허위자백을 유지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김00 변호사는 이 합의금을 받고 김01의 변호인으로 나서서 항소심에서도 허위자백을 유지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결국 김00 변호사는 김01과 김02 사이에서 합의금의 지급조건을 조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김00 변호사의 행위가 변호인의 정당한 변론권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했습니다.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는 변호인이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을 다른 곳에 누설하지 않을 소극적 의무를 말하는 것일 뿐, 진범을 은폐하는 허위자백을 적극적으로 유지하게 한 행위가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에 의하여 정당화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김00 변호사는 김01과 김02 사이의 부정한 거래가 진행 중이며, 김02 사건의 수임과 변론이 그 거래의 향배와 불가결한 관련이 있을 것임을 분명히 인식하고도 김01로부터 김02 사건을 수임하고, 그들 사이의 합의가 성사되도록 도왔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변호인의 정당한 변론권의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김00 변호사는 자신이 피고인 1을 도피시킬 목적으로 피고인 2를 위하여 변론한 것이 아니라 ‘피고인 1이 진범이다’라는 항소이유를 철회하고 피고인 2의 양형에 관한 변론만 하였을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김00 변호사는 피고인 1의 공범인 제1심 공동피고인 2의 존재를 알지 못하였으므로 제1심 공동피고인 2를 도피하게 한 사실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러한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은 김00 변호사가 피고인 1의 부탁을 받고 피고인 2가 피고인 1로부터 합의금 중 5,000만 원을 받았다는 확인서를 직접 작성하여 피고인 2의 서명을 받았으며, 피고인 1이 피고인 3을 피고인 2의 항소심 변호인으로 선임한 데 대하여도 같은 날 피고인 2의 동의를 얻어 법원에 변호인선임서를 제출한 점을 결정적인 증거로 삼았습니다. 또한, 김00 변호사가 피고인 1의 부탁을 받고 피고인 2가 피고인 1로부터 합의금 중 5,000만 원을 받았다는 확인서를 직접 작성하여 피고인 2의 서명을 받았으며, 피고인 1이 피고인 3을 피고인 2의 항소심 변호인으로 선임한 데 대하여도 같은 날 피고인 2의 동의를 얻어 법원에 변호인선임서를 제출한 점을 결정적인 증거로 삼았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만약 변호사가 진범을 은폐하는 허위자백을 적극적으로 유지하게 한 행위를 한다면, 이는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에 의하여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변호사는 변호인의 정당한 변론권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변호사는 변호인의 직무영역 내에서만 활동해야 하며,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는 변호사의 직무영역을 벗어난 행위입니다. 따라서 변호사가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은 변호사가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를 해도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에 의하여 정당화될 수 있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는 변호인이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을 다른 곳에 누설하지 않을 소극적 의무를 말하는 것일 뿐, 진범을 은폐하는 허위자백을 적극적으로 유지하게 한 행위가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에 의하여 정당화될 수는 없습니다. 또한, 변호사는 변호인의 정당한 변론권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법원은 김00 변호사에게 징역 4개월형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김00 변호사가 위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5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위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하고, 김00 변호사에게 위 벌금 상당액의 가납을 명했습니다. 김00 변호사는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노역장에 유치될 수 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변호사들이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를 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변호사는 변호인의 정당한 변론권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또한, 변호사는 변호인의 직무영역 내에서만 활동해야 하며,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는 변호사의 직무영역을 벗어난 행위입니다. 따라서 변호사가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변호사들이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변호사는 변호인의 정당한 변론권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변호사는 변호인의 직무영역 내에서만 활동해야 하며,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는 변호사의 직무영역을 벗어난 행위입니다. 따라서 변호사가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를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변호사들은 이 판례를 참고하여 변호사의 직무영역 내에서만 활동해야 하며, 진범을 은폐하는 행위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