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log

(심리학) 이것 하나만 잘 해도 다른 사람이 자신의 요청이나 부탁을 더 잘 들어준다!


Post Image

1.누구에게 필요한 글인가요? 이 글은 사람의 기본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신의 말이 다른 사람에게 거절 당하거나 아니면 자신의 부탁을 다른 사람들이 잘 들어주지 않는다면 이것이 없어서 일 가능성이 큽니다. 자신을 돌아보고 여기서 말하는 이것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 이것이 의미하는 것 예를 들어 누군가 에게 어떤 부탁이나 요청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 누군 가는 지인일 수도 있고 아예 모르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이들에게 자신이 요청하는 일에 대해 긍정의 답변을 받기 위해서는 어떤 한 가지가 반드시 들어가야 효과적으로 승낙의 확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는 어떤 요청이나 부탁의 이면에 있는 그 이유가 무엇이냐 입니다. 저에게 무언가를 양보해 주시길 바란다 거나, 자기를 위해 어떤 일을 해 달라고 요청할 때, 사실적인 내용이나 목적 주의 말만 하게 된다면 명령이나 지시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 요청이나 부탁을 받은 사람들은 '내가 왜 해야 하는데? 내가 왜 양보해야 하는데?'라는 아주 간단하고 직관적인 물음이 머릿속에 떠오를 것이기 때문인데, 이를 해소해 주지 않고 아무리 친절하게 부탁이나 요청을 한들 이것은 요청을 받는 자에게는 불확실한 정보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요청이나 부탁을 하게 된다면 뒤이어, 왜냐하면...때문입니다. 라는 이유에 대한 부분을 간단하고 진솔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이유를 전달하지 않았을 경우 이러한 사유들로 거절 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신뢰 부족: 이유를 설명하지 않으면 요청을 받는 사람이 그 요청의 진정성이나 타당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동기 부여 부족: 사람들이 타인의 요청을 수락하는 데에는 어떤 이유나 동기 부여가 필요합니다. 이유 없이 요청을 받으면 왜 그것을 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어 동기 부여가 떨어집니다. 불안감: 이유를 모르면 요청을 수락하는 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몰라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중요한 결정이나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경우, 이유를 모르면 더더욱 요청을 거부할 가능성이 큽니다. 사회적 규범: 대개 사람들은 요청을 받을 때 그 배경이나 필요성을 알고 싶어 합니다. 이유 없이 요청을 받으면 사회적 규범에 어긋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구체적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1: 직장에서 의 요청 상황: 한 직원이 동료에게 "내일 보고서 대신 작성해 줄 수 있나요?"라고 요청했지만,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결과: 동료는 이유를 알지 못해 자신이 그 일을 왜 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동료는 그 요청을 거절했습니다. 이후, 그 직원은 다음과 같이 요청을 수정했습니다: "내일 중요한 회의 준비로 시간이 부족한데, 보고서를 대신 작성해 줄 수 있나요?" 이 경우, 동료는 그 이유를 이해하고 요청을 수락했습니다. 사례 2: 친구 간의 부탁 상황: 한 친구가 다른 친구에게 "나 대신 이번 주말에 강아지를 돌봐 줄 수 있어?"라고 요청했지만,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결과: 친구는 왜 자신이 강아지를 돌봐야 하는지 이유를 알지 못해 불편해졌고, 결국 그 부탁을 거절했습니다. 나중에 이유를 알게 된 후(예: "내가 가족 행사에 참석해야 해서 시간이 안 돼"), 친구는 그 부탁을 기꺼이 들어주었습니다. 사례 3: 가족 내 부탁 상황: 부모가 자녀에게 "방 청소해라"라고 명령했습니다.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결과: 자녀는 이유를 모른 채로 방 청소를 하는 것이 귀찮게 느껴졌습니다. 만약 부모가 "이번 주말에 손님이 오시니까 방 청소 좀 해줘"라고 이유를 설명했다면, 자녀는 그 이유를 이해하고 방 청소를 더 기꺼이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요약 사람들에게 도움이나 요청을 청할 때 이유를 설명하지 않으면 요청이 거부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유를 설명함으로써 신뢰를 쌓고, 동기를 부여하며, 불안감을 줄이고, 사회적 규범에 맞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유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소통과 대화의 기본적 관점 위에서 의 사례와 같이 사람 간에 기본적인 소통과 대화의 관점을 생각해 봐야 합니다. 누군가 가 자신의 의사 표현을 위해 요구하는 내용만 전달할 경우 뭔가 하나 빠진듯한 모습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이유가 나와야 함에도 이유를 설명하기 귀찮다는 이유로 하지 않을 경우 거절 당할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의 요구나 부탁 사항을 말한 이후 말이 끝나기 전에 이유를 함께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상대방이 요구 사항만 듣고 나면 당연히 '왜' 라는 질문을 할 것이고 그제야 이유를 설명한 경우라면 상대의 생각은, 어떤 요구 사항이나 부탁을 들어주기에 거부감이 먼저 든 상태에서 '왜' 라고 이유를 물어보고 답변을 들어보았자 처음 결정한 자신의 심적 결정 상태를 바꾸려고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요구나 부탁 사항을 말하고 이유를 붙여서 말할 경우, 상대는 이를 복합적으로 생각해 이유에 높은 가중치를 두어 들어줄 가능성이 많아지게 됩니다. 상대의 머리 속에서 요구나 부탁만 전달할 경우 가부의 선택만 하는 간단한 메커니즘 작용에 의해 두뇌에서 자신에게 도움 되지 않는 일일 경우, 혹은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일일 경우 먼저 거부반응을 일으켜 거절의 결정을 하게 되고, 그 이후 이유를 들었다고 한들 먼저 결정한 선택을 바꾸려고 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말할 때 반드시 이유를 붙여 자신이 그렇게 말하는 이유, 그렇게 요청하고 부탁하는 이유를 함께 붙여서 하는 연습을 하는 게 좋습니다. 간단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대화의 습관에서 상대의 거절 확률을 줄일 수 있다면 그리고 이것이 사회 심리학적 방면에서 유효하다면 이러한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Blog Home Back to Post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