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페이지에는 고소 취소 후에도 처벌받았어? 반의사불벌죄의 진실 (2019도10678)에 대한 전문적이고 자세한 글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소 취소 후에도 처벌받았어? 반의사불벌죄의 진실 (2019도10678)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협박죄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4조 제1항 제3호를 위반한 죄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사례입니다. 반의사불벌죄란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면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범죄를 말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해자가 고소 취소를 했고, 변호사를 통해 처벌을 원하지 않는 의사표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이 처벌을 받았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은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표시가 적법하게 철회되었는지 여부와, 법원이 이를 직권으로 조사해야 하는지에 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해자의 국선변호사가 제1심판결 선고 전에 제출한 ‘고소취소 및 처벌불원서’에 피해자가 처벌을 희망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원심은 피해자의 처벌희망 의사표시가 적법하게 철회되었는지를 직권으로 조사하여 반의사불벌죄의 소극적 소송조건을 명확히 심리·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원심은 이에 대하여 심리·판단하지 않은 채 이 사건 공소사실 전부를 유죄로 판단하였습니다. 따라서 원심판결에는 반의사불벌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나머지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아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협박죄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4조 제1항 제3호를 위반한 죄에 대해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형법 제283조 제3항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4조 제2항에 따라 협박죄와 정보통신망법 제74조 제1항 제3호에서 정한 제44조의7 제1항 제3호를 위반한 죄는 모두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는 피해자의 국선변호사가 제1심판결 선고 전에 제출한 ‘고소취소 및 처벌불원서’였습니다. 이 서류에는 피해자가 피고인과 합의하였으므로 이 사건 고소를 취소하고,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가 명확히 기재되어 있었습니다. 이 증거는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표시가 적법하게 철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만약 당신이 비슷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 의사표시를 하면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는 범죄는 처벌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피해자가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하거나 처벌을 희망하지 않는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 법원은 이를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피해자의 의사표시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매우 중요합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많은 사람들이 반의사불벌죄에서 피해자의 의사표시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법원이 직권으로 조사하지 않는다고 오해합니다. 그러나 법원은 형사소송법 제232조 제1항, 제3항에 따라 처벌불원의 의사표시의 부존재는 소극적 소송조건으로서 직권조사사항에 해당하므로, 당사자가 항소이유로 주장하지 않았더라도 원심은 이를 직권으로 조사·판단하여야 합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는 제1심에서는 피고인에게 징역 10개월, 집행유예 2년 등을 선고하였습니다. 그러나 원심은 2018. 12. 11. 법률 제15904호로 개정되어 2019. 6. 12. 시행된 장애인복지법 부칙 제2조에 따라 이 사건에 개정법 제59조의3을 적용하여 부수처분인 취업제한명령에 관하여 심리·판단해야 한다는 이유로, 검사의 양형부당 주장에 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제1심판결을 직권으로 파기한 후 이 사건 공소사실 전부를 유죄로 인정하고 피고인에게 징역 6개월 등을 선고하였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반의사불벌죄에 대한 법리의 명확화를 통해 피해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법원이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표시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은 피해자의 권익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이 판례는 법원의 직권조사 의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도 기여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법원은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표시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직권으로 조사하여 판단할 것입니다. 이는 피해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반의사불벌죄에 대한 법리의 명확화를 통해 공정한 재판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또한, 피해자의 변호사는 피해자를 대리하여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하거나 처벌을 희망하지 않는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