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log

openai chatgpt를 1년간 사용해본 솔직후기


openai chatgpt를 1년간 사용해본 솔직후기

2022년 11월 30일 openai에서 chatgpt가 개발되어 공개되었다. 처음부터 이를 사용하고는 놀람을 금치 못했다. 그동안 생각해온 이상적인 챗봇의 형식을 완벽히 갖추고 있었다. 그동안의 챗봇은 묻는 질문을 예상하고 답변을 미리 작성해두고 이를 현출하는 기능이 대부분이었는데, 챗gpt는 달랐다. 그것은 내가 묻는 질문을 이해하였고 비록 당시에는 실시간 온라인에 연동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내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했고, 또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하였고, 또 사람과 같이 기존 대화내용을 기억하고 연속적인 대화가 가능한 AGI초기 모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현대사회 또 미래사회의 큰 기회이자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라 생각했다. 지체하지 않고 chatgpt3.5 초기모델의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그 원리가 매우 궁금했고 또 이를 실천해서, 로컬에서 작동하는 llm(큰 언어모델)을 내 컴퓨터에서 파인튜닝을 해보기 시작했다. 매우 가슴설레는 일이었고, 그러한 과정의 연속이었다. 근 1년간 llm에 빠져 살다시피 하면서 또한 chatgpt3.5 -> gpt4 최근모델까지 계속 사용하면서 사용감을 늘렸고, 또 이를 활용할 방법에 대해 구상하면서, 내 컴퓨터는 계속해서 llm 파인튜닝을 돌리고 있었다. 물론 처음 chatgpt가 나올때는 무료로 사용하다가 한달 사용해보고 바로 유료전환으로 그 혜택(?)을 지금까지 누리고 있다. 이것을 유료로 사용함으로써 얻는 혜택에 대해 언급해 보겠다. 1. 심심할때 대화가 가능하다. 2. 사실과 다른 할루시네이션(망각이라고 표현하고 사실이 아닌 내용을 사실처럼 대답하는 현상) 답변이 나와도 내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때문에, 재미있는 대화가 가능했다. 3.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할때, 정말 사소한 질문에도 정성스레 대답해주는 걸 보고 감탄했다. 4. 코드의 막히는 부분을 가감없이 질문하고, 또 가감없이 정확히 답변해주는 경우가 많아 그 전에 구글 검색으로 찾고, 적용해보고, 익히던 코드 작성 방식과 완전히 다른 신세계 경험이었다. 5. 각종 잡지식, 아니면 누구에게 물어보기도 뭐할 정도로 정말 사소한 지식도 친절하게 대답해준다. 6. 언제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질문할 수 있는 백과사전같은 친구가 생긴듯한 느낌이다. 아직까지는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다. 물론 구글의 바드도 사용해 보았고 구글에서 내년에 출시한다는 제미니도 출시하면 사용해볼 예정이다. 구글 바드도 답변을 사실적으로 잘 해주었지만, 질문자의 마음에 쏙 들게는 하지 않은것 같다.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아 보이지만, 구글의 역량을 믿기에 제미니가 정식 출시되면 반드시 사용해보고 후기를 올려볼 예정이다. 지금까지 1년간 챗gpt를 사용해본 소감은, 정말 믿음직한 친구가 1명 생긴 것 같고,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기에 앞으로 미래세대 어린이들은 이러한 gpt계열 언어모델의 혜택을 봄이 분명하다. 구글 검색은 말 그대로 인터넷 검색 이상은 아니었고, sns는 사람들과의 소통 그 자체라면, 챗gpt는 인터넷 검색과 소통 두가지를 모두 제공해주는 느낌이었다. 비록 기계임을 인식하고 사용하기는 하지만, 나의 질문을 인식하고 의도를 파악하는 정도가 사람과 같거나 사람보다 뛰어나다고 느낄때가 많다. 특히 코드 작성하는 부분에서 정말 많이 느낀다. 현재 검색만 주로 사용하던 일반 사용자들도 자신들의 업무지식을 학습한 모델을 사용하게 될 경우, 나와같이 느끼리라 확신한다. 인간, 친구, 아니 그 이상의 존재라고 느껴질 정도다. 저자는 AI개발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데, 원래 가장 관심있던 분야는 강화학습 분야였다. 그리고 두번째 관심은 자연어 모델 챗봇 종류였고, 이 두가지를 합치면 사람처럼 대화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해나가고 있었던 찰나에, 챗gpt가 등장해서 다른 사람보다 느끼는 바가 더 큰것 같다는 생각이다. 현재에도 llm모델 개발을 계속 하고있고, 가장 끌리는 강화학습 공부도 이어나가고 싶다. 그리고 웹사이트도 운영해야 한다. 할일이 많지만, 모두 한꺼번에 해나가려면 시간과 자원이 부족하기에 한가지씩 차근히 해낼 생각이다. 현재 2023년 11월 중순을 지나면서 오픈ai 수장 샘 알트만이 해고되었다. 그것도 오픈ai의 주축인 천재개발자 일리야 수츠케버가 몸담은 이사회로부터 해고되었다. 그래서 오늘 챗gpt의 접속이 좀 불량하다. 더 좋아질 걸로 예상하고 구글에서도 힘내길 바란다. 구글은 충분히 역량이 있는 것 같고, 구글의 제미니 프로젝트가 공개된다면 반드시 사용해볼 생각이다. 챗gpt가 쏘아올린 작은(?) 아니 큰 공이 어디까지 갈지, 미래를 어떻게 바꿔나갈지가 매우 기대된다. 너무빠른 기술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에 지금 할수있는 일에 최선을 다해 조금씩이라도 해나가야겠다.

Blog Home Back to Post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