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이트맵을 처음 들어보신 분들 2) 사이트맵을 만드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 3) 사이트맵을 각 사이트 서치콘솔에 등록하고자 하시는 분들
사이트 맵이란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엔진에 스스로 제공하는 파일입니다. 스스로 제공하는 이유는 당연 검색엔진에서 내 웹사이트가 잘 검색되도록 하는 목적일 것입니다. 제가 만든 웹 사이트는 웹 상에는 존재하지만 아무도 모르고 혼자 사용한다면, 매우 슬픈 하루하루가 될겁니다. 그걸 방지하기 위해 검색엔진에 "제 웹사이트 여기 있어요!!"라고 손흔들어 인식시키는 작업에 필요한 것이 사이트맵 제출일 것입니다. 구글 검색센터에서는 다음과 같을때 사이트맵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1) 사이트 크기가 큰 대규모 사이트(크기로 인해 구글 크롤링 로봇이 새 페이지 찾지 못할수도 있답니다.) 2) 연결되는 외부 링크가 많지않은 새로운 사이트(신제품을 홍보하듯 새로운 웹사이트를 구글에 적극적으로 인식시키기) 3) 동영상이나 이미지가 많거나 구글 뉴스에 표시되는 사이트 다음의 경우에는 사이트맵이 필요하지 않을수도 있다고 합니다. 1) 크기가 작은 사이트(500페이지 지하) 2) 내부적으로 긴밀히 연결된 사이트(쉽게말해 홈페이지 시작되는 링크를 따라가서 사이트에 있는 중요한 페이지 모두 발견) 3) 동영상이나 이미지, 또는뉴스 페이지가 많지 않음. -하지만 웹사이트 운영자 입장에서는 사이트맵 필요치 않을 경우라도 만들어놓고 제출하는게 좋겠죠.
사이트맵 생성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XML사이트맵 2) RSS, mRSS, Atom 1.0 3) 텍스트 사이트맵 -이번 본문에서는 XML사이트맵 생성에 대해서만 다룰 예정입니다. 기타 사항의 생성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구글 검색센터 방문하셔서 살펴보시면 됩니다. 생성하기 전 사이트맵 권장사항이 있습니다. 1) 사이트맵 크기 제한이 있는데 형식 관계없이 사이트맵은 1개당 50MB(압축 전 파일기준) 또는 URL 50,000개로 제한됩니다. 2) 사이트맵 파일 인코딩은 UTF-8로 인코딩되야 하고, 위치는 루트에 게시된 사이트트의 모든 파일에 영향을 주므로 루트 URL다음에 게시하길 권장합니다. 예를들어 웹사이트 주소가 https://www.example.com일때 https://www.example.com/sitemap.xml 이와 같은 형식으로 게시 3) 참조 URL속성은 전체 웹사이트 주소가 나타나도록 하고 상대경로를 사용하지 말것 예를들어 웹사이트 주소가 https://www.example.com일때 https://www.example.com/sitemap.xml 이와같이 속성을 표시하고, '/sitemap.xml'로만 사용하지 말것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 XML-Sitemaps.com에서 운영하는 무료 사이트맵 생성 프로그램 =>텍스트 입력하는 창에 웹사이트 전체 주소를 넣으시고 아래 파란색 버튼 START 누르면 바로 크롤링 실행하고, 다 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버튼이 생성됩니다. 여기서 저장되는 파일명은 sitemap.xml인데 이것을 자신의 웹사이트 URL에 위에 말씀드린데로 루트 URL/sitemap.xml로 경로설정하시면 됩니다. 4. 사이트맵 제출할 수 있는 포털 링크 1) 구글 서치콘솔 2)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3) 다음 검색등록 4) 줌 검색등록 5. 같이보면 좋은 링크 구글 검색센터에 사이트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