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검색엔진 최적화에 대해 알고싶은데 어려워하시는 분들 2) 구글 검색엔진을 알고 싶어 하시는 모든분들 3) 구글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어하시는 분들 이 글은 기본적으로 구글 검색센터의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본가이드 안에 있는 내용으로만 작성되었습니다. 구글 검색센터에 나온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좀더 쉽게 볼수 있도록 재구성해 보았습니다.
1)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콘텐츠 2) 많은 사람들이 항상 궁금해하는 질문을 주제로 하는 콘텐츠 3) 사람들의 궁금증 해결할 수 있는 품질 높은 콘텐츠 4) 품질높은 콘텐츠 : 고유한 정보, 조사, 분석자료 제공 등 5) 사이트 정보링크 등을 통한 신뢰, 전문성 있는 콘텐츠 6) 우수한 페이지 경험 제공
1) 콘텐츠가 어떻게 작성되었는지 독자가 알면 도움이 됩니다. 2) 제품 리뷰인 경우 테스트 제품 수, 결과, 진행방식 등 사진과 같은 증거 제공 3) 결국 독자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는 내용 4) 생성AI, AI지원받은 콘텐츠의 경우 어떤 프로세스인지 밝히면 독자와 방문자가 이해하기 쉽다고 합니다.
1) 사용자 중심 콘텐츠에 집중하기 2) 사용자 중심 콘텐츠란 검색엔진 순위를 위함이 아닌 사용자를 위해 제작된 콘텐츠를 의미 3) 경험을 통해 얻은 전문성과 깊이있는 지식이 명확히 드러나는 콘텐츠에 집중 4) 사이트의 주요 목적이나 초점이 있는지 여부 5) 콘텐츠를 읽으면 목적달성을 위한 지식을 학습했다고 느낄지 6) 콘텐츠 읽는 사람의 만족스러운 경험이 중요 7) 검색엔진 중심 콘텐츠 만들지 말기 8) 검색 실적올리기 위한 여러가지 주제의 많은 수의 콘텐츠X 9) 광범위한 자동화X 10) 자기의 이야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이야기X 11) 인기 주제만 글쓰기X 12) 콘텐츠 내용 부실X 13) 선호하는 특정 단어수 사용X 14) 전문적 지식없이 틈새 주제 진출X 15) 제목과 내용이 다른 낚시성 주제X 16) 작성 페이지 날짜 변경X 17) 새로운 사이트처럼 보이기 위해 새 콘텐츠 늘리고 오래된 콘텐츠 삭제X
1) 경험 2) 전문성 3) 권위 4) 신뢰성 5)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성 6) EEAT콘텐츠 식별하기 위해 다양한 요인 사용 7) 구글 시스템에서는 사람들의 건강, 금융, 안정성, 안전 또는 사회의 안녕, 웰빙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는 주제에 대해 높은 EEAT를 보여주는 콘텐츠에 많은 가중치 부여
구글은 방대한 검색엔진을 필두로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대형 플랫폼 기업입니다. 검색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을 펼치고 있는데요. 그 규모는 범위가 어느 정도다 가늠하기도 힘들고 상상도 못할 정도일 것입니다. 구글의 주 수입원은 검색엔진을 중심으로 광고주-사용자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요. 이 구조에서 광고주와 사용자를 간접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구글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건, 어떤 컨텐츠에 사용자가 많을까, 사용자가 많다는 것은 그 컨텐츠를 보러 들어온 사용자들이 광고도 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겠죠. 불법적인 부분 말고 콘텐츠가 많은 사용자들을 끌어모으는 이유를 구글은 다년간의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건 자연스럽게 그 콘텐츠가 많은 사용자의 마음을 끌었다고 볼수 있고 그것이 구글 입장에서는 광고를 하기에 좋은 콘텐츠라고 생각하게 될것 같아요. 결론, 구글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콘텐츠는, 검색엔진을 위한 콘텐츠가 아닌, 사용자를 위해 제작된 콘텐츠입니다. 검색엔진 최적화라는 것은 어찌보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사양인 것 같고, 중요한 내용은 사용자 중심 콘텐츠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기술적 요소보다는 사람, 인간적 요소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앞으로도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를 누구나 쉽게 알수 있도록 포스팅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