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와 잠재고객은 다양한 사람들입니다. 다양한 관심사가 있고 다양한 연령대가 있고, 성별이 다르고, 생각이 다르고, mbti가 다르고, 여러가지가 다른 사람들이겠죠. 이 모든 독자들을 모두 충족시킬 수는 없고 저자가 정한 주제 안에서 관심있어하는 독자들을 만나야 합니다. 저자가 생각하는 주제에 관심있어 할 독자와 잠재고객이 누군지는 저자가 미리 파악해 두어야지만 그들의 고민이 무엇이고 그들이 어떤 배경을 가진 자들인지 알아갈 수 있어요. 독자의 성별이 무엇인가요? 독자의 나이대가 대략 어느정도인가요? 독자가 어떤 고민을 안고 있나요? 저자가 생각하는 주제가 독자의 고민을 해결해 줄수 있는 것인가요? 이 질문들에 대해 저자가 적절한 답을 해야 독자들이 보이기 시작할 거에요.
독자의 배경과 고민을 파악했다면, 이 독자들이 어떤 희망을 가지고 있기에 그러한 고민들을 하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독자와 잠재고객들은 어떤 희망과 꿈을 갖고 있나요? 그 희망과 꿈을 이루기위해 계속적으로 하는 고민이 무엇인가요? 이 질문에 저자가 적절한 답을 해 보다보면 독자들이 원하는게 무엇인지 명확히 알아갈 수 있어요.
그러면 독자들이 이러한 희망을 품고있고, 그 희망을 이루기위해 고민하는 것들을 해결하기위해 어떤 내용들을 검색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구글 키워드 플래너 등을 이용해 저자가 알고자하는 키워드를 검색해보고 이 키워드들 중 독자들의 고민이 담겨있는 공통된 키워드를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독자들도 자신이 풀고자 하는 문제, 알고자 하는 것, 희망을 이루기위해 해야 할 내용들을 검색창에서 검색할때, 이미 누군가 검색을 해 놓았고 공통적으로 많이 검색하는 문장들은 자동완성이라는 툴로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것을 보고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많구나를 느끼게 되고, 저자들은 그러한 독자들이 공통적으로 검색하는 키워드나 문장을 잘 알고 있어야 하므로 독자들을 알아가면서 예측하는 걸 연습해 보아야 해요.
독자들이 검색하는 키워드를 예측했다면, 독자들이 어떤 궁금증과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키워드를 검색했는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독자들은 분명 어떤 이유로 그 키워드를 검색했기 때문일 것이고, 그 검색한 이유는 키워드와 관련된 어떤 것이 알고 싶었을 것입니다. 그 알고 싶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저자들이 잘 파악해 두어야 하는데, 이는 키워드 플래너 등 도구로 그냥 키워드들만 알아둔다고 되는 것은 아니고, 독자의 생각,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 그들의 마음을 진심으로 공감해야지만 저자들의 문제를 알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그리고 독자들이 그 키워드를 검색한 궁극적인 이유도 알수 있을겁니다.
독자가 어떤 키워드로 검색하였다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지, 어떤 것을 알고싶어 하는지를 예측해볼때, 독자의 마음에 어떤 것이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하는지를 아는것도 중요해요. 독자가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검색창에 어떤 걸 쓸지 망설일 수밖에 없으나 일정 키워드를 찾아가며 검색했다면, 독자의 마음속에 어떤 문제, 장애물로 인식하는 것이 있을 것이고 저자들은 이 장애물이 뭔지를 알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키워드만 보면 되는 것은 아니고 사람에 대한 관심과 관찰,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며 그들을 공감하려는 노력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
저자가 생각하는 주제를 필요로 하는 독자와 잠재고객의 마음을 진심으로 공감하고 그들이 어떤 문제를 풀고자 하는지 그 장애물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독자의 생각의 흐름, 어떤 희망을 품고있고 그 희망을 이루기위해 어떤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지 독자의 관점에서 이를 함께 바라보고 해결을 위해 저자가 도움을 줄수 있는 부분이 어딘지 아는 것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