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글쓰기는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소통의 창입니다. 이러한 소통에서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은 종종 역효과를 낳습니다. 이 글에서는 마케팅 글쓰기에서 처음부터 완벽을 추구하는 것이 왜 비효율적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완벽주의는 종종 창의성을 억제합니다. 마케팅 글쓰기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독창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완벽함을 추구하다 보면, 우리는 자유로운 사고와 실험을 두려워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텍스트는 획일화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뒤로 밀립니다. 전의 글에서 F의 감성으로 일단 자기 마음에서 우러나는 글을 판단하지말고 그대로 작성해보는 것부터 시작을 해야, 중간중간에 끼어드는 T성향의 비판자가 나중을 위해 기다릴 수 있습니다. F성향으로 글을 마음껏 하고싶은대로 쓰고, 그 다음 T성향의 마음속 비판자로부터 평가를 받자. 하지만 F성향이든 T 성향이든 자기 마음속의 글을 대상으로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기에 절대적으로 믿지는 말고 일단 발행해 보자는 마음이 중요합니다. 처음부터 T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글쓰기를 한다면 창의성과 유연성이 심하게 제약을 받아 마음에 있는 말을 전달하는데 문제가 생기므로, 하고싶은데로 일단 쓰자가 좋습니다.
완벽한 글을 쓰려고 노력하면 시간과 자원이 과도하게 소모됩니다. 마케팅에서는 빠른 시간 내에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완벽주의는 이러한 민첩성을 저해하며, 결과적으로 기회의 창을 놓치게 됩니다. 마음대로 쓰는 글에서 자기도 모르는 기회가 생기고 그 중에 인기글이 탄생하게 됩니다. 완벽해지려고 시간을 쓰기보다는 불완전 하더라도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글에 담았다면 일단 발행해보는 것부터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완벽주의적인 접근은 때때로 실제 대상 고객과의 거리를 벌립니다. 마케팅 글쓰기의 핵심은 대상 고객과의 감정적 연결입니다. 너무 깔끔하고 기계적인 글은 독자와의 소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완벽주의 성향을 벗어나 불완전하다고 느끼더라도 마음속 글을 발행하면 이를 읽는 독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게 됩니다. 간단한 조회수 부터해서 공감정도, 댓글 내용 등으로 피드백을 받는 것이 마음속 T성향의 과도한 비판자로부터의 평가를 받는 것보다 훨씬 좋은 성장 발판이 될것입니다.
마케팅 글쓰기는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의 과정입니다. 초기에 완벽한 결과물을 기대한다면, 우리는 실패에서 배우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기회를 잃게 됩니다. 실패는 종종 가장 좋은 교사입니다. 마케팅 글쓰기에서 처음부터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창의성, 시간 관리, 타겟 오디언스와의 소통, 그리고 학습과 성장의 기회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실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완벽한 글보다는, 대상 고객과 진정으로 소통하고, 브랜드의 가치를 전달하는 글이 더 중요합니다.
완벽함을 추구하지 말고 불완전 하더라도 글을 발행해보자고 하면 거부감이 들기도 합니다. 이 의미는 글을 쓰면서 끊임없이 마음속 T성향의 비판을 받으며 글을 쓰면 추진력이 상실될 때도 있고 마무리짓지 못할때도 있을 것입니다. 불완전 하더라도 마음속 마음을 글로 다 담으셨다면 글을 발행하고 피드백을 기다려 보는게 더 좋은 방법입니다. 그 전에 글의 기본적인 교정을 하는 것도 필요하고 빠르게 수정한 후 글을 일단 발행하는게 중요합니다. 완벽함은 글쓰기에서 적이 될수 있고, 완벽함 보다는 불완전한 글 여러개를 빨리 발행해서 적절한 피드백을 받는게 더 좋은 글쓰기 방법입니다. 글을 모두 작성하고 적절히 고쳤다면 기다리지말고 바로 발행해서 독자들이 보도록 하는게 더 중요합니다. 피드백은 글의 내용 중 어떠한 부분에 대한 것인지 명확히 기억하고 이를 조금씩 고쳐 나간다면 나중에는 완벽하지 않으려 해도 독자들이 원하는 완벽한 글로 바뀌어가는 걸 느끼실 수 있습니다. 혼자서 수없이 고민하며 글을 작성하고 고쳐쓰고 스스로 평가해서 형편없는 글이라 하지 마시고 적절히 수정해서 빨리 발행하고 평가를 받는게 더 중요합니다. 결과물의 완벽함을 바라지 마세요. 누구나 불완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