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페이지에는 "단체 회비도 기부금품으로 처벌될 수 있어? (2021도16765)"에 대한 전문적이고 자세한 글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체 회비도 기부금품으로 처벌될 수 있어? (2021도16765)"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사단법인 ○○○○○○○○의 대표이사 또는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면서 모집된 기부금품의 15%를 초과하여 모집비용에 충당하고, 기부금품 중 일정 금액을 경조사비 등에 지출하여 모집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한 경우입니다. 이 법인은 소외 계층을 위한 자원봉사 활성화 사업과 독거노인 및 빈곤층을 위한 무료급식 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하지만 법인이 회원들로부터 정기적으로 납부받은 회비와 후원금을 기부금품으로 처리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 법인의 정관에 따라 회원들이 납부한 회비와 후원금이 기부금품법 제2조 제1호 (가)목 및 (다)목에서 정한 금품에 해당하여 기부금품법의 처벌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단체의 내부 규정을 근거로 단체의 설립 목적과 운영 상황, 회원 가입 자격 및 절차, 회원의 권리·의무, 회비 납부와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피고인 법인이 소속 회원들로부터 납부받은 금원은 기부금품법의 규율대상인 ‘기부금품’에서 제외된다고 보았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기부금품법에 따른 모집등록을 마친 법인으로서 기부금품법에서 정한 내용에 따른 규제를 받고 있으며, 수사 과정에서 기부금품 모집등록과 모집과정에서 기부금품법을 위반한 사정은 드러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피고인 법인은 기부금품의 모집과 사용에 관한 장부의 작성, 모집상황과 사용명세 결과 공개, 등록청에 대한 보고서 제출과 공인회계사 작성 감사보고서 제출 의무 등을 준수해왔습니다. 따라서 회원들이 납부한 회비와 후원금은 기부금품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는 피고인 법인의 정관과 회원들이 납부한 회비와 후원금의 사용 현황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법인의 정관에서 회원의 권리와 의무가 규정되어 있으며, 회원들이 납부한 회비와 후원금이 법인의 목적 수행에 수반되는 비용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습니다. 또한, 피고인 법인이 금품을 모집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 지출한 금액이 이자 등으로 인한 수입 금액에도 미치지 않는 금액이었다는 점도 중요한 증거로 작용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만약 당신이 단체에서 회비나 후원금을 모집하고 이를 기부금품으로 처리한다면, 기부금품법의 규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단체의 내부 규정을 통해 회원의 권리·의무와 회비 납부 및 관리를 명확히 해야 하며, 기부금품의 모집과 사용에 관한 장부를 작성하고 이를 공개해야 합니다. 또한, 기부금품의 모집비용 충당비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단체에서 모집한 회비나 후원금이 항상 기부금품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기부금품법은 단체의 내부 규정을 근거로 단체의 설립 목적과 운영 상황, 회원 가입 자격 및 절차, 회원의 권리·의무, 회비 납부와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단체의 내부 규정이 명확하지 않거나, 회비와 후원금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기부금품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 피고인 법인이 기부금품법을 위반한 경우, 제16조 제1항 제6호와 제5호에 따라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집비용 충당비율을 초과하여 비용에 충당하거나, 기부금품을 모집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한 경우에 처벌이 가해집니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 법인이 기부금품법을 준수해왔기 때문에 처벌을 받지 않았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단체에서 모집한 회비나 후원금이 기부금품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는 조건을 명확히 했습니다. 단체가 회원의 권리·의무와 회비 납부 및 관리를 명확히 하고, 기부금품의 모집과 사용에 관한 장부를 작성하며 이를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단체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단체는 기부금품법의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단체의 내부 규정을 명확히 하고, 회원의 권리·의무와 회비 납부 및 관리를 적절히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기부금품의 모집과 사용에 관한 장부를 작성하고 이를 공개하며, 기부금품의 모집비용 충당비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단체는 기부금품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회원들의 신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