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의 성장채널을 잘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장채널을 분석한다고 하면 매우 생소하실 수도 있지만, 이러한 성장채널을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채널을 더 잘 키울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급성장하는 유튜브 채널을 분석해서 성장의 원인을 알고 싶은 분들 2) 급성장채널의 노하우를 자신의 채널에 그대로 적용해 보고 싶은 분들 3) 시행착오를 줄여 자신의 채널을 잘 성장시키고 싶은 분들 내 채널도 저사람 채널처럼 성장시키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드시는 분들 이 글을 보시면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어요.
급성장 채널을 그냥 보고만 있으면 왜 성장하는지 알수 없어요. 시청자의 입장에서와 분석자의 입장에서는 채널과 영상을 다른 방식으로 봐야 합니다. 먼저 시청자는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영상을 찾는 일이 전부입니다. 분석자는 시청자의 시간을 자신의 채널로 유입시키는 방법을 연구해야 합니다. 시청자의 시간을 자신의 채널이나 영상으로 유입시키려면, 그만큼 시청자의 욕구에 맞게 재미있거나 흥미있는 영상을 만들면 될겁니다.
시청자들의 욕구나, 그들이 느끼는 재미와 흥미는 다양해요.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을 모두 맞춘다는 건 불가능해요. 그러므로 우리가 만든 컨텐츠가 어느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지 명확하게 한다면, 즉 타겟층을 명확히 한다면, 그들의 예상질문에 맞는 컨텐츠를 만들 수 있고 이 컨텐츠에 맞는 제목과 썸네일 문구를 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다른 것보다 우선해야 하는 질문은 이것입니다. 시청자들의 예상질문, 시청자들이 어떤 걸 궁금해 하고 어떤 질문을 할지에 대한 것을 끊임없이 파고들어야 합니다. 시청자들에게 보여줄 만한 내용이나 스토리, 글을 시청자들에게 어필할때, 그 컨텐츠를 어떤 제목으로 만들어야 시청자나 독자들이 이를 쉽게 이해하고 컨텐츠 내용을 보고자 하는 마음이 들까, 이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 말씀드릴 수 있어요. 결국 어떠한 컨텐츠든 가장 먼저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만한 제목이나 썸네일로, 보여주고자 하는 컨텐츠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고 그것이 사람들에게 어떤 유익한 가치를 주느냐, 아니면 어떤 재미있는 내용을 시청자들에게 보여줄 것이냐, 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그 컨텐츠의 내용물이 진정 사람들이 보고자 하는 알찬 내용이냐,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냐를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을 이루기 위해 컨텐츠 내용만 보고도 제목이나 썸네일을 뽑아내는 능력이 필요한데, 이것은 컨텐츠 내용안에 담긴 엑기스가 무엇인지, 그것을 요약하고 그 요약의 핵심이 무엇인지, 그것이 사람들에게 어떤 유익한 가치를 주는 내용인지, 어떤 재미와 감동을 주는 내용인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컨텐츠를 사람들이 보도록 하기 위해 결국 사람들이 어떤 호기심, 질문을 갖고 있는지를 잘 살펴야 그 질문에 맞는 컨텐츠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컨텐츠를 보고 사람들이 어떤 질문을 하고 들어왔을때 이 컨텐츠를 볼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사례를 미리 컨텐츠 제작자가 알고 컨텐츠를 기획한다면, 시청자들의 사례에 맞는 기획의도에 맞는 컨텐츠를 제작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컨텐츠를 보고 그 제목과 썸네일을 만들 수 있는 능력, 내용물을 보고 어떤 제목으로 독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지, 그것은 컨텐츠를 좀더 정확히 분석할 수 있어야 하고, 사람들의 예상질문을 아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어떤 이야기를 듣고 그 내용에 대한 바른 질문을 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고, 컨텐츠에 대해 요약하여 질문할 줄 알아야만 어떤 채널이든 분석이 가능합니다.
정리하자면, 성장하는 채널을 발견하면 그 성장의 원인을 분석하면 자신의 채널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면 성장 채널의 성장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성장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그 채널의 컨텐츠가 사람들에게 어떤 흥미, 재미, 감동, 정보를 주는지 알아야 합니다. 채널에 업로드 된 영상을 보고 그 내용의 제목과 썸네일이 이를 잘 표현하고 있는지 보아야 합니다. 컨텐츠 제작자의 입장에서 기획 단계부터 제목, 썸네일, 컨텐츠 내용을 생각해 볼텐데, 그 컨텐츠나 채널을 분석하는 입장에서는 컨텐츠 제작자와 반대로 컨텐츠를 먼저 보고 제목 내용과 썸네일에 맞는지 봅니다. 컨텐츠를 보고 사람들이 질문할 만한 내용을 거꾸로 생각해보고 그 질문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을 제목과 썸네일로 만들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옳바른 분석방법이라 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