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텔레그램 딥페이크처럼 사람들의 익명성이 보장된다면 어떤 행동을 할까? 익명이 철저히 보장되는 상황에서 사람들의 행동을 심리학에 기반해 풀어보겠습니다. 익명성은 인간의 행동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여러 이론과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이러한 익명성의 효과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는데요. 여기서는 주요 심리학적 원리와 이론을 바탕으로 익명성이 어떻게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탈개인화(deindividuation) 이론 익명성은 개인이 집단 속에서 자신을 감추게 되고, 이에 따라 개인의 정체성이나 책임감이 희석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상태를 탈개인화라고 하며, 개인은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비춰질지에 대한 의식이 줄어들어 평소보다 더 극단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의 익명 댓글, 트롤링, 사이버 폭력은 이 탈개인화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밝혀지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 속에서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2. 책임 분산(diffusion of responsibility) 익명성이 부여된 상황에서는 개인이 자신이 저지르는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덜 느끼게 됩니다. 이는 특히 집단 속에서 익명이 보장될 때 더욱 두드러지며, 개인은 자신이 속한 집단 전체가 책임을 지는 것처럼 느낍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더 과감한 행동을 하거나, 평소에는 하지 않았을 불법적이거나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는 대규모 시위에서 일부 익명의 참가자들이 폭력적인 행동을 저지르는 경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특정인을 집단적으로 공격하는 현상 등이 있습니다. 3. 사회적 억제 감소(social inhibition reduction)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억제(social inhibition) 효과에 의해 타인의 눈치를 보고 사회적 규범을 따르며 행동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익명성이 보장되면 타인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들어 사회적으로 억제된 행동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욕구나 충동을 더 자유롭게 표현하게 만든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반대로 비윤리적 행동을 할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겠죠. 익명 설문조사나 온라인 포럼에서 솔직한 의견을 말하는 것, 게임에서 익명성을 이용한 도전적인 플레이, 그리고 성적인 욕구나 범죄적 충동을 표출하는 행동들이 이에 속할 수 있어요. 4. 자아 해방(self-liberation) 익명성은 때로 긍정적인 자아 해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개인이 사회적 규범이나 기대에서 벗어나 자신의 진정한 감정, 생각,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익명이라는 조건에서 사람들은 더 솔직하고 창의적인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타인의 평가에 대한 부담이 적어 더 자유롭게 자신의 사고를 펼칠 수 있습니다. 예시로는 익명 창작 활동, 온라인에서의 솔직한 자기 고백, 자발적 도움 제공, 그리고 공익적인 프로젝트에서의 기여 등이 있습니다. 5. 욕망의 극대화 익명성은 사람들로 하여금 억눌린 욕망을 극대화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욕구일 수도 있고 부정적인 욕구일 수도 있습니다. 평소 억제되었던 자신감을 익명성을 통해 풀어내는 사람도 있지만, 평소 억제되었던 공격적 성향, 편견, 혹은 성적 욕망을 더 쉽게 드러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6. 도덕적 판단의 변화 익명성은 사람의 도덕적 판단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익명일 때 도덕적 책임감을 덜 느끼며, 행동의 결과에 대해 덜 고려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때로는 도덕적 판단이 무뎌지게 만들어 범죄 행위를 저지르거나 비윤리적 행동을 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상에서의 해킹, 저작권 침해, 도박, 사이버 범죄 등이 이러한 변화된 도덕적 판단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결론 익명성은 인간 행동에 상당히 복잡한 영향을 미칩니다. 익명성은 사람들이 평소 억제했던 생각과 행동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책임감이나 도덕성을 약화시켜 부정적인 행동을 촉발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장점과 단점을 놓고 보았을때 단점이 가져오는 해악이 더 큰걸로 보이죠.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해도 처벌받거나 책임을 묻지 않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위와 같은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이런 사회에서 살고 싶은 사람들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그런데 반면 이런 사회를 원하는 사람들도 있을수도 있어요. 사회해체로 인해 득을 보는 사람들일 것이고 지킬 것이 없는 사람들일 수도 있겠지요. 정리하자면, 개인에게 지킬것이 많은 사회, 남들의 아픔을 공감하는 사회, 남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제대로 처벌하고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이고, 이런 시스템을 잘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를 지향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