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log

(심리학 스토리) 내가 정한 방식대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방법


Post Image 1

내가 정한 방식대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마케팅이든 광고든, 블로그 글이든.. 많은 사람들에 의해 작용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숨은 비결이 여기에 있어요. 이건 주로 심리학과 관련이 되어 있는데요. ● 많은 사람들의 선택을 내가 정하고 싶은 분 ● 마케팅에서 많은 사람들의 선택을 받고 싶은 분 ● 많은 사람들을 나의 선택에 따르게 하는 방법을 알고 싶은 분 ● 내가 정한 데로 사람들의 심리를 움직이고 싶은 분 이 방법을 알고 싶은 분들이 이 글을 보면 분명 도움이 될 겁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면, 그 안에 서비스가 있고 수익이 있고 자산형성할 수 있는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선택에 타당성을 부여합니다. 그 이유는 주로 사회적 영향과 확증 편향과 관련이 있는데요. 이를 통해 사람들이 왜 다른 사람들의 결정을 따르거나 그 결정에 타당성을 느끼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다수의 행동을 옳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어요. 이것을 사회적 증거(Social Proof)라고 합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명확하지 않거나 불확실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보고 그 행동이 옳다고 생각하게 되는데요. 쉽게 말해서, 사람들이 많이 하는 행동이나 선택은 틀리지 않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그 선택에 타당성을 부여하게 됩니다. 한 예로, 레스토랑에서 손님이 많은 가게를 선택하는 것. 많은 사람들이 줄 서서 기다리며 음식을 먹으려고 하는 곳을 보고 그곳이 맛집이라고 생각하는 것, 또한 줄을 서더라도 그 레스토랑을 선택했으니 좋은 음식점일 것이라고 판단하게 됩니다. 이것은 누가 시키지도 않고 누가 홍보하지 않았더라도 그냥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분,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것이라 추측하고 즉시적으로 떠오르는 판단이라 보면 됩니다. 설사 그 선택이 틀렸을 지라도, 그 당시에는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그 레스토랑이 맛집이라 생각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 이후에도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것이 옳고 그런 선택을 하는 것은 타당하다는 생각은 변하지 않습니다. 확증 편향이라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신념을 뒷받침하는 정보만을 받아들이고, 그에 맞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려는 경향을 말해요. 다른 사람들이 나와 같은 선택을 하면, 그것이 내 생각이 맞다는 증거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선택에 더 큰 타당성을 느끼게 됩니다. 그 외 소수의 사람이 이와 반대되는 의견을 내더라도 그 의견이 합리적일 지라도,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것을 쉽게 바꾸지 않습니다. 쉽게 말해서, 나와 비슷한 선택을 한 사람을 보면 "내 선택이 맞다"고 확신하게 됩니다. 한 예로, 내가 어떤 영화를 보고 좋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도 그 영화를 좋게 평가하면 내 판단이 옳다고 더 확신하게 되는 것을 확증편향이라 하고, 우리에게 흔히 일어나는 자동적 사고의 하나에요. 사람들은 무리에서 소외되거나 다르게 행동하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과 같은 선택을 하고, 그 선택에 타당성을 부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동조 심리는 우리 사회에서 안전과 수용을 보장받으려는 본능적인 행동입니다. 다른 사람들과 같지 않으면 불편하거나 불안하기 때문에, 그들의 선택을 옳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요. 많은 사람들의 의견에 반대되는 의견을 내 본적도 별로 없고 그간 살아온 것처럼 남들, 많은 사람들이 하는 걸 따라한 경향 그대로 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남들과 다른 의견을 낸다는 건 마음이 불편하고 불안해지기 때문에 편하고 기존에 해 온 것처럼 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한 예로, 친구들이 모두 같은 브랜드의 옷을 입으면, 그 브랜드가 좋은 것처럼 느껴지고 나도 그 브랜드를 선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안에서 자신의 의견을 내는 것 같지만 큰 틀에서 보면 다른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따라가는 모습을 보여요. 어떤 선택을 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결정을 정보의 원천으로 사용합니다. 특히 자신이 어떤 주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확신이 없을 때, 다른 사람들의 선택이 옳다고 생각하게 되며 그 선택에 타당성을 부여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서, 내가 모르는 상황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더 잘 알 것이라고 믿고 그들의 선택을 따라가게 됩니다. 그 상황을 자신이 나서서 스스로 알고자 할땐, 신경 쓸 것도 많고 알아야 할 것도 많기 때문에 보통 남들이 하는 걸 따라하면 좋다고 생각하고, 그 중에서 누군 가는 이 모든 걸 신경 쓰고 고려해서 선택했을 것이라는 근거없는 믿음을 가지게 됩니다. 낯선 도시에서 길을 찾을 때, 현지 사람들이 많이 가는 길을 따라가면 그 길이 맞다고 느끼는 것처럼 말이죠. 인지 부조화는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충돌할 때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려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내 선택과 같은 결정을 했을 때, 우리는 그 선택에 대한 의문을 덜 느끼고 자신의 결정을 더 타당하게 느끼게 됩니다. 내 선택이 옳다고 믿고 싶어서, 다른 사람들의 같은 선택을 보면서 내 선택이 옳다고 합리화하게 됩니다. 내가 고른 상품이 좋은 선택이라는 걸 확인하기 위해, 그 상품을 선택한 다른 사람들의 리뷰를 보고 안심하는 것처럼 말이죠. ★정리하자면, 위 내용은 많은 사람들이 별 고민없이 선택하게 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 것입니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제대로 이해하고 사람들의 마음을 알 수 있다면, 그들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한 방법이 생각날 거에요. 그건 많은 사람들의 선택의 시작은 어느 한 사람으로부터도 시작될 수 있어요. 그 시작을 당신이 시작한다면, 소수의 사람들을 설득하고 그들의 선택을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면, 그것이 더 많은 사람들의 선택을 불러오고 그 결과는 많은 사람들이 별 고민없이 이를 따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선택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이유는 사회적 증거와 동조 심리로 인해 사람들이 다수의 선택을 신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확증 편향과 인지 부조화로 인해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하려고 하고, 정보적 사회 영향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선택을 참고해 자신의 결정을 내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대중의 심리를 잘 알면 내가 정한 방식대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게 가능할 것입니다.

Blog Home Back to Post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