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새로운 주제를 가져와 봤는데요. MBTI 유형별로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나타나는 신체 현상은 각 유형의 성격 특성과 감정 표현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나타나는 신체 반응은 긴장, 설렘, 흥분 등 다양한 감정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유형별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반응을 아래에 자세히 설명할게요. ▶ ISTJ (내향적, 감각형, 사고형, 판단형) ·뻣뻣한 자세가 나타나요. ISTJ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긴장을 잘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몸이 약간 뻣뻣해지고, 평소보다 더 단정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요. ·눈맞춤을 어려워 해요. 감정 표현에 서툰 ISTJ는 좋아하는 사람과 눈을 맞추는 것을 어려워할 수 있어요. 많은 사람 앞에서는 눈맞춤을 피하거나 할순 있지만, 단 둘이 있을 땐 또 필요 이상으로 오래 눈을 마주칠 수도 있어요. ·땀을 많이 흘려요. 아무래도 긴장한 ISTJ는 손바닥이나 이마에 땀이 나기도 해요. 특히 긴장하거나 말을 꺼낼 때 땀이 나면서 긴장감을 드러낼 수 있어요. ▶ ISFJ (내향적, 감각형, 감정형, 판단형) ·얼굴이 빨개져요. ISFJ는 감정을 내면적으로 깊게 느끼기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얼굴이 쉽게 붉어질 수 있어요. ·잔잔한 미소를 내뿜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자연스럽게 미소를 짓게 돼요. 그들의 미소는 상대방에 대한 호감을 나타내며, 부드럽고 따뜻한 인상을 줄 수 있어요. 기분 좋아서 인 경우도 있고,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미소 남발하기도 해요. ·시선을 자주 회피해요. ISFJ는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어려울 수 있어요. 시선을 피하거나, 다른 곳을 보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어요. 다른 사람은 잘 쳐다보는데, 어느 한 사람에게만 의도적으로 시선을 자주 회피한다면 호감 신호일 수도 있어요. ▶INFJ (내향적, 직관형, 감정형, 판단형) ·과묵해지고 조용해져요. INFJ는 내향적인 성향이 강해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더욱 조용해질 수 있어요. 감정이 깊어지면서 말을 잘 하지 않고, 조용히 관찰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분명 할 말은 많을텐데 말실수 해서 상대가 자신을 싫어할까봐를 걱정하기도 해요. ·긴장으로 인한 근육이 경직되어 부자연 스러운 모습이 보이기도 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긴장할 경우 어깨나 목 주위의 근육이 뻣뻣해질 수 있어요. 잘 보이기 위해서 움직이나 근육의 섬유 하나하나 의도해서 움직이는 듯한 이상한 몸동작이 나올 수 있어요. ·짧은 한숨을 자주 쉬어요.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짧게 한숨을 쉬거나 깊게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가 있어요. 태연해 지려고 하나 잘 되지 않아요. ▶INTJ (내향적, 직관형, 사고형, 판단형) ·무표정으로 변하기도 해요. INTJ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오히려 무표정이 되기 쉬워요. 긴장하기 때문에 자연스레 무표정이 되는데요. 감정을 숨기고 논리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그렇고 잠깐 씩 웃더라도 부자연스러운 웃음이 나오기도 해요. ·자주 눈을 깜빡이면서 나 긴장하고 있는 상태라는 걸 표시하기도 해요. 물론 의도하지 않게 나오는 동작이죠. 긴장한 상태에서는 눈을 자주 깜빡일 수 있는데요. 이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감정을 억누르려고 하는 무의식적인 반응일 수 있어요. ·자신의 몸을 만지면서 안절부절 하기도 해요.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머리를 만지거나 팔짱을 끼고, 손을 만지작거리는 등의 신체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요. ▶ISTP (내향적, 감각형, 사고형, 인식형) ·손을 주머니에 넣었다 뺏다 해요. ISTP는 긴장될 때 손을 주머니에 넣거나, 주머니에서 물건을 만지작거리거나 손을 주머니에 넣었다 뺐다 하며 부산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해요. ·눈을 자주 피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해, 눈을 피하거나 다른 곳을 보는 행동을 보일 수 있어요. 눈이 마주치면 자신의 감정을 들킬까봐 그렇게 하는 경향이 있어요. ·자연스럽게 자세가 풀어지기도 해요. ISTP는 좋아하는 사람과 있을 때 긴장을 푸는 방법으로 일부러 더 릴렉스된 자세를 취하려고 할 수 있어요. ▶ ISFP (내향적, 감각형, 감정형, 인식형) ·얼굴이 빨게져요. ISFP는 감정적으로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쉽게 얼굴이 빨개질 수 있어요. 얼굴이 홍당무 상태라면 잘 살펴보시길요. ·자주 웃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웃는 모습을 자주 보일 수 있어요. 이는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한 호감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미묘한 떨림이 있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가벼운 떨림이나 긴장감이 나타날 수 있어요. 특히 손이나 목소리가 떨릴 수 있어요. 이럴 땐 긴장한 호감신호로 받아들이고 젊은 나이에 벌써 수전증이냐며 놀리면 안돼요. ▶ INFP (내향적, 직관형, 감정형, 인식형) ·시선이 자주 아래로 향해요. INFP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쉽게 부끄러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선이 자주 아래로 향하거나 시선을 피하는 경향이 나타나요. 눈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자신의 감정을 들킬까봐 조심하는 편이에요. ·작은 미소를 지어요. 조용히 미소를 짓는 모습을 자주 보일 수 있어요. 좋아하는 사람을 바라보며 눈에 띄지 않게 살짝 미소를 짓는 것이 특징이에요. 실실 쪼갠다는 표현이 가장 맞는 것 같아요. ·자주 머리를 만져요. 긴장할 때나 불안할 때,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만지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것은 상대에게 잘 보이기 위한 공통적은 호감신호이기도 해요. ▶ INTP (내향적, 직관형, 사고형, 인식형) ·땀을 흘려요. 긴장한 상황에서 손바닥에 땀이 나는 경우가 많아요. 이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의 긴장감을 반영하는 신체 반응이에요. 머리에서 육수를 뽑고 있다면 호감신호이니 휴지를 건네든 손수건을 건네든 땀을 닦으라고 하는게 좋아요. ·자주 안경을 고쳐 써요. 안경을 착용한 INTP의 경우,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자주 안경을 고쳐 쓰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어요. 평소 습관일 수도 있으나 보통 안경은 코에 고정되어 있으나, 긴장하면 땀이 나고 그러면 안경이 미끄러워 자주 내려와요. 그럴수도 있고 손을 어디 둘데가 없어 그럴수도 있어요. ·자주 눈을 깜빡여요. 긴장한 상태에서는 눈을 자주 깜빡이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어요. ▶ ESTP (외향적, 감각형, 사고형, 인식형) ·잦은 손짓이 있어요. ESTP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에너지가 넘치고 자신감을 표현하려고 할 때 손짓을 많이 사용해요. ·다리를 움직이면서 긴장을 완화하려 해요. 흥분되거나 긴장될 때 다리를 흔드는 등의 행동이 나타날 수 있어요. ·미소와 웃음을 보여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자연스럽게 미소를 짓거나 웃음을 터뜨릴 수 있어요. 이는 상대방에게 호감을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 ESFP (외향적, 감각형, 감정형, 인식형) ·자주 웃음이 나와요. ESFP는 밝고 사교적인 성격으로,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자주 웃는 모습을 보입니다. 큰 소리로 웃거나 활기차게 웃을 수 있어요. 함께 하는 사람을 마음에 들어하거나 기분 좋을 때 나오는 자동 반사적 행동이에요. ·가벼운 신체 접촉을 시도하기도 해요. 팔을 툭 치거나, 어깨를 가볍게 만지는 등 자연스럽게 신체 접촉을 시도할 수 있어요. ·몸을 앞으로 기울여요. 상대방에게 관심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이야기할 때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경향이 있어요. 한 순간도 놓치고 싶지 않을때 보통 이렇게 많이들 하죠. ▶ ENFP (외향적, 직관형, 감정형, 인식형) ·활발한 손동작이 나와요. ENFP는 에너지가 넘치고 감정 표현이 풍부한 유형입니다.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말을 하면서 바디랭귀지 하듯 손을 많이 사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요. ·밝은 표정과 큰 웃음이 특징이에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얼굴이 밝아지고 자주 웃음을 보입니다. 이는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전달하려는 행동인데요. 평소에는 잘 이러지 않다가 어느 사람 앞에서만 이런 행동 보인다면 호감에 의한 자동적 신체반응이에요. ·몸을 자주 움직여요. 흥분되거나 좋아하는 사람과의 대화에서 신이 나면 몸을 자주 움직이거나, 여기저기 걸어 다니는 모습을 보일 수 있어요. 간혹 정신없는 사람처럼 보이기도 해요. ▶ ENTP (외향적, 직관형, 사고형, 인식형) ·빠르게 말해서 목소리의 떨림을 들키지 않으려 해요. ENTP는 좋아하는 사람과의 대화에서 흥분되어 말을 빠르게 할 수 있어요. 이는 대화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반영하는 행동이기도 해요. ·자주 웃음을 지어요. ENTP는 유머감각이 뛰어나고 사교적인 성향이 강해,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자주 웃는 모습을 보여요. 유쾌한 사람이란 걸 어필하려는 행동이에요. ·자신감 넘치는 자세가 있어요. ENTP는 자신감을 드러내는 유형으로,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더 자신감 있게 행동하려고 할 수 있어요. ▶ ESTJ (외향적, 감각형, 사고형, 판단형) ·더 단정해지는 자세가 나오기도 해요. ESTJ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더 단정하고 똑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하는데요. 이는 자신을 더 잘 보이려는 의도가 담긴 행동으로 침착한 모습을 보여줘요. ·강한 목소리가 나오기도 해요. ESTJ는 자신감 있고 권위 있는 성격으로,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목소리가 더 커지고 명확해질 수 있어요. ·무의식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는 걸 좋아해요. 좋아하는 사람에게 인상을 주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대화의 주도권을 쥐려 하거나, 리더십을 발휘하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어요. ▶ ESFJ (외향적, 감각형, 감정형, 판단형) ·웃음과 미소가 저절로 나와요. ESFJ는 따뜻하고 친절한 성향을 가지고 있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자주 웃고 미소를 지으며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주려고 해요. ·지나치게 친절한 행동을 보이기도 해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지나치게 친절해지며, 상대방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려고 해요. ·가벼운 신체 접촉을 시도해요. 상대방에게 호감을 표시하기 위해 어깨를 가볍게 만지거나, 팔을 툭 치는 등의 신체 접촉을 시도할 수 있어요. ▶ ENFJ (외향적, 직관형, 감정형, 판단형) ·긴장된 미소, 어색한 미소를 보이기도 해요. ENFJ는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긴장한 미소를 지을 수 있어요. 이는 상대방에게 잘 보이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된 행동이에요. ·적극적인 눈맞춤을 하려고 해요. ENFJ는 상대방과의 감정적 연결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과 눈을 맞추려고 하는 경향이 있어요. 빤히 쳐다보기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을 챙겨줘요. 상대방의 상태나 기분을 계속해서 체크하려는 행동을 보이며,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요. ▶ ENTJ (외향적, 직관형, 사고형, 판단형) ·단정한 자세 유지해요. ENTJ는 자신감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그래서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더욱 단정하고 똑바른 자세를 유지하려고 해요. 단정한 자세야 말로 자신감의 표현이라 생각해요. ·목소리가 더 또렷해 지고 분명해 져요. 좋아하는 사람과 대화할 때 목소리가 더 크고 또렷해지는 경향이 있어요. 이는 자신감을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눈맞춤을 피하지 않아요. ENTJ는 좋아하는 사람과의 눈맞춤을 통해 자신감을 보여주려고 해요. 따라서 상대방과의 눈맞춤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하려고 해요. 잘 보면 눈이 마주쳤을 때 눈싸움 하듯 피하지 않기도 해요. ★정리하자면, 각 MBTI 유형별로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나타나는 신체 현상은 그들의 성격 특성과 감정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요. 이러한 신체 반응은 좋아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는 무의식적인 행동일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호감을 표시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겠죠. 하지만 성향이 다르더라도, 위의 내용들은 남녀가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공통적으로 나올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해요. 잘 살펴 보셔서 상대가 자신 앞에서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만 알아도, 호감 신호를 파악할 수 있겠죠. 예쁜 사랑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