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log

(심리학 스토리) 관심있어 계속 보게 되는 걸까 VS 계속 보니까 관심이 생기는 걸까


Post Image 1

한 실험실 실험 참여자들이 모여 있다. 이들에게 여러 장의 사진을 나눠준다. 그 중 마음에 드는 사진 한 장을 고르게 했다. 실험 참여자들은 각자 자신이 원하는 사진 한 장씩을 골랐다. 그 과정에서 실험 참여자들의 시선이 어디로 향하는지 계속해서 추적했다. 실험 참여자들은 원하는 사진을 고르기 전에 여러 사진을 탐색하게 되는데, 어느 한 장의 사진을 가장 오래본 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김없이 탐색하면서 가장 시선을 오래 머무르게 했던 사진을 골랐다. 이것으로 보아 여러 사진 중 각 실험 참여자들의 마음에 드는 사진을 마음속으로 고르는 행위가 먼저 일어난다. 실험 참여자들이 고른 사진도 각자 다르다. 그 과정에서 실험 참여자들이 그 사진을 오래 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자 이번엔 실험 참여자에게 여러장의 사진을 다시 보여주는데, 원하는 사진을 그냥 고르라고 한 것이 아닌, 사진의 보여주는 시간을 달리해서 강제로 시선의 고정을 변화시키게 했다. 이번에는 탐색하는 사진 중 어느 하나에 자기 마음대로 시선을 고정해 두지 못한 상황이 되었다. 그래서 마음에 들든 들지않든 어느 사진은 오래 보게 되고 어느 사진은 적게 보게 했다. 그랬더니 실험 참여자들은 오래 본 사진을 가장 마음에 든다고 선택했다. ★이 실험이 주는 교훈을 나름 생각해 보자면, 여러 사람들이 있으면 그 중 자신의 마음에 드는 이성을 먼저 고르고, 그 이성을 계속해서 보고 싶어하고 또 보다 보면 더 좋아지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런 와중에도 자신이 원하는 이성과 시간이 잘 나지 않고 다른 이성과 함께 있는 시간이 의도치않게 늘어난 경우, 그 이성에게 호감을 가질 가능성이 커짐을 보인다. '나는 솔로' 등의 일반인 연애 프로그램에서 이는 자주 나오는 상황이다. 여러 명의 남녀가 첫인상으로 서로 마음에 드는 상대를 각자 생각한다. 그들과 데이트를 하거나 함께 있는 시간을 늘리려 하지만 잘 안되고, 다른 이성과 데이트 기회가 주어지고 함께 하는 시간이 늘어난 만큼 처음 첫인상과는 다르게 시간을 많이 가진 이성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래서 첫인상을 오래 보고 싶어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을 경우 자주 본 사람을 선택하게 되는 사람의 심리가 위 실험에서 말하는 의미 같다. ▶위 실험은 실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것으로, 미 캘리포니아 공대 신스케 교수의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 고르는 실험'이었다.

Blog Home Back to Post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