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원자재로 관세 면제 받다가 들통난 회사, 어떻게 처벌받았나? (95도391)


수출 원자재로 관세 면제 받다가 들통난 회사, 어떻게 처벌받았나? (95도391)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한 중견 기업 A사(피고인)는 수출용 원자재를 수입할 때 관세를 일시적으로 유예받는 제도를 악용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수출용 원자재를 수입하면 즉시 관세를 내야 하지만, 이 회사는 "후에 수출할 때 상계(환급)한다"는 명목으로 관세 납부를 유예받았죠. 문제는 A사가 **수출 실적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미 사용한 수출면장을 중복 사용해 가짜 수출 기록을 만들어낸 점입니다. 이렇게 **부정한 방법으로 관세 상계를 받아** 20억 원 이상의 관세를 불법으로 면제받은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A사의 직원들은 이 행위를 회사 대표에게 알리지 않고 독단적으로 실행했고, 결국 세관의 감사에서 적발됐습니다. ---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대법원은 A사의 행위를 **관세법 제180조(관세 부정감면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관세 상계 제도는 **수출 실적이 있는 경우에만** 적용되는데, A사는 이를 속여 관세를 면제받은 것이죠. 법원은 "가짜 수출 기록을 만들어 관세 부과를 회피한 행위는 명백한 사기"라며 엄중히 꾸짖었습니다. 특히,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제6조(관세 포탈 2000만 원 이상 가중처벌)도 적용할 수 있지만, **법인에 대한 양벌규정은 없으므로** 일반 관세법 위반으로 처벌했습니다. ---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A사는 "직원이 독단적으로 저지른 일이므로 회사는 책임이 없다"며 면책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회사가 직원들의 관세 환급 업무에 대한 관리 소홀이 있었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관세법 제197조는 **법인이 위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없었다는 것을 증명해야 면책**되는데, A사는 이를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법원은 "회사가 대표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해도, 업무 감독 책임은 회사의 몫"이라 강조했습니다. ---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세관의 감사 과정에서 **이미 사용된 수출면장의 중복 사용**이 적발되었습니다. A사는 같은 면장을 여러 번 재사용해 가짜 수출 실적을 조작했으며, 이는 컴퓨터 시스템의 로그 데이터로 확인되었죠. 특히, 해당 직원이 단독으로 행위를 했어도 **회사의 시스템에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 결정적 증거로 작용했습니다. ---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만약 **관세 상계를 위해 가짜 문서를 제출하거나, 수출 실적이 없는 경우에도 상계를 신청**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회사 대표가 직원들의 불법 행위를 방치하거나 관리 소홀**한 경우에도 책임을 질 수 있죠. 법원은 "회사는 내부 감사 시스템을 갖추고, 불법 행위를 사전 차단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개인도 관세 환급 신청 시 **허위 사실 기재**를 하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1. **"직원이 혼자 한 일이면 회사는 책임이 없다"** → 법원은 **회사의 관리 소홀**도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2. **"소규모 관세 포탈은 처벌받지 않는다"** →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은 2000만 원 이상 포탈 시 가중 처벌하지만, 일반 관세법 위반은 **금액과 무관하게 처벌**됩니다. 3. **"자수하면 감경된다"** → 자수가 되어도 **회사 대표가 직접 자수해야 감경**되며, 직원의 자수만으로는 효과가 없습니다. ---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A사에는 **벌금 3억 7760만 원**이 선고되었습니다. 이 금액은 **부정한 관세 상계액과 법인 규모**을 고려해 산출된 것이죠. 법원은 "관세 포탈은 국가 재정에 큰 피해를 준다"며, 가중 처벌을 강조했습니다. 개인에게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관세 환급 제도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세관은 이제 **수출면장의 중복 사용 여부를 더 철저히 검사**하며, 기업들은 내부 감사를 강화해야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죠. 또한, **법인의 책임을 강조**해 회사가 직원들의 불법 행위를 방치하지 않도록 유도했습니다. 이후 유사한 사기 사건에서 **관세 포탈 금액이 20억 원 미만이어도 처벌**받는 사례가 늘었습니다. ---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1. **AI와 빅데이터 분석**으로 가짜 수출 기록을 탐지하는 기술이 도입될 것입니다. 2. **회사 내부의 관세 감사 시스템**이 의무화될 가능성 있습니다. 3. **법인 대표의 개인적 책임**이 강화될 수 있어, 중소기업도 더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세관은 이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관세 포탈 시도를 사전에 차단하려 할 것입니다. --- **마무리:** 이 사건은 "소규모 관세 포탈도 위험하다"는 교훈을 줍니다. 기업이든 개인이든 **관세 제도를 악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내부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죠. 법원은 "국가 재정은 국민의 혈세로 유지된다"며, 관세 포탈 행위에 대해 엄중히 다스리고 있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