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에서 경쟁 후보자를 사기꾼이라 비하한 후보, 왜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걸까? (96도1741)


선거에서 경쟁 후보자를 사기꾼이라 비하한 후보, 왜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걸까? (96도1741)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1995년 서울시의회의원 선거에서 서대문구에 출마한 A 후보(피고인)는 경쟁 후보 B를 낙선시키기 위해 공개 연설회에서 강도 높은 비방 발언을 했다. A 후보는 B 후보를 향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설했다: - "B 후보의 오빠인 박철언 씨를 이용해 과장된 PR을 했다." - "B 후보가 당선된 지 4년 동안 주민들을 속이고 공약을 지키지 않았다." - "선거 때만 되면 거짓말도 밥 먹듯 한다." - "B 후보가 주민들 앞에서 사탕발림을 했다." - "B 후보가 아파트 건설을 위해 땅을 불법적으로 매입했다." 특히, A 후보는 B 후보가 아파트 건설에 관여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실제로는 서대문구청이 관여한 사항이었다. 이 연설은 B 후보의 인격과 정치적 역량을 인격적으로 비하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A 후보의 연설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이유로 B 후보 비방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다. 1. **사실의 적시**: A 후보의 연설은 단순한 의견 표현이 아니라 구체적인 사실들을 나열한 것으로, 그 진실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2. **비방의 취지**: 연설 내용이 B 후보의 정치적 활동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아니라, 인격적 비하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판단했다. 3. **공직선거법 위반**: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1조에 따라, 후보자를 비방하는 행위는 처벌 대상이지만, 진실한 사실로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경우엔 예외로 한다. 법원은 A 후보의 연설이 B 후보의 인격과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판단했고, 이는 공공의 이익보다 사적 이익(즉, B 후보 낙선과 자신의 당선)이 더 큰 동기였다고 봤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A 후보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다: 1. **연설 내용은 의견 표현**: A 후보는 자신의 연설이 단순한 의견 표현일 뿐, 사실에 기반한 비방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2. **공공 이익의 목적이 있었다**: B 후보의 행적을 공개함으로써 유권자에게 진실을 알려주는 공공 이익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3. **사회상규 위반하지 않았다**: 자신의 행위는 사회적 통념상 허용될 수 있는 범위 내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은 A 후보의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 연설 내용이 사실에 기반한 것이지만, 이는 B 후보의 인격을 비하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 공공 이익보다 사적 이익이 더 컸고,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르게 과장된 것이였다. - 사회상규에도 위반된다고 판단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이 A 후보의 비방죄를 인정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는 다음과 같다: 1. **연설 내용의 문맥**: A 후보의 연설은 B 후보의 정치적 역량을 평가하기보다는 인격적 비하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판단됐다. 2. **사실과 다르게 과장된 내용**: 아파트 건설과 관련된 내용은 B 후보가 아닌 서대문구청의 책임이었다. 3. **공공 이익 vs. 사적 이익**: A 후보의 연설이 B 후보 낙선과 자신의 당선을 목적으로 한 것이 명백했다. 4. **전체적 진실성 부족**: 연설 내용 중 일부는 사실과 다르게 과장되거나 왜곡된 부분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유사한 상황에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 조건이 충족될 경우, 후보자비방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1. **비방의 목적**: 경쟁 후보자를 낙선시키기 위해 인격적 비하를 목적으로 한 경우. 2. **사실의 적시**: 구체적인 사실들을 나열해 진실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 3. **공공 이익의 부재**: 사적 이익(즉, 자신의 당선)이 공공 이익보다 더 큰 동기인 경우. 4. **과장된 내용**: 일부 내용이 사실과 다르게 과장되거나 왜곡된 경우. 만약 당신이 선거에서 경쟁 후보자를 비방하는 연설을 한다면, 위 조건을 충족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이 사건과 관련해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진실한 사실만 말하면 처벌받지 않는다"**: 진실한 사실이라고 해도, 공공 이익보다 사적 이익이 더 큰 동기가 있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2. **"정치적 의견 표현은 자유다"**: 의견 표현과 사실의 적시는 다르며, 인격적 비하를 목적으로 한 경우 비방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3. **"과장된 표현은 허용된다"**: 사실과 다르게 과장된 표현은 비방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4. **"공공 이익만 있으면 된다"**: 공공 이익이 있더라도 사적 이익이 더 큰 동기가 있다면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A 후보는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1조에 따라 후보자비방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구체적인 처벌 수위(벌금, 구류 등)는 판결문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처벌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1. **벌금**: 300만 원 이하. 2. **구류**: 10일 이하. 3. **선거권 제한**: 일정 기간 동안 선거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선거 캠페인에서 후보자 간의 비방 행위에 대한 법적 기준을 명확히 한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1. **선거 공정성 강화**: 후보자들의 비방 행위를 규제함으로써 선거의 공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2. **유권자 보호**: 유권자들이 경쟁 후보자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3. **법적 기준 명확화**: 공공 이익과 사적 이익의 균형을 고려해 비방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4. **선거 캠페인 문화 개선**: 후보자들이 인격적 비하보다는 정책 논쟁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유사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법원은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사실의 적시 여부**: 연설 내용이 단순한 의견 표현인지, 아니면 구체적인 사실인지 판단할 것입니다. 2. **비방의 목적**: 경쟁 후보자를 낙선시키기 위해 인격적 비하를 목적으로 한지 여부를 검토할 것입니다. 3. **공공 이익 vs. 사적 이익**: 공공 이익과 사적 이익의 균형을 고려해 위법성 조각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4. **과장된 내용**: 일부 내용이 사실과 다르게 과장되거나 왜곡된 경우, 비방죄로 처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판례는 선거 캠페인에서 후보자들이 더 신중하게 발언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