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에 꼼수 쓰면 무조건 처벌받나요? 놀라운 판결 결과 (94도600)**


**입찰에 꼼수 쓰면 무조건 처벌받나요? 놀라운 판결 결과 (94도600)**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1994년 광주에서 발생한 입찰 관련 꼼수 사건입니다. 당시 공영개발사업단에서 바다모래 개발사업자 선정을 위한 일반경쟁입찰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이 꼼수를 썼습니다. 한쪽은 입찰단가를 3,900원으로, 다른 쪽은 3,630원으로 각각 제시하면서, 낮은 가격을 제시한 사람이 낙찰을 받는다는 원칙에 따라 뒷거래를 통해 낙찰을 보장했습니다. 즉, 두 사람은 서로 간에 입찰단가를 정해 놓고 경쟁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서로가 계약을 따기 위한 경쟁자가 아닌 ‘합의자’였습니다. 이는 입찰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로,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이 사건에서 **입찰방해죄**가 성립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판결문에서 법원은 "입찰방해죄는 현실적으로 공정성을 해치는 결과가 발생해야 성립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공정을 해칠 위험성이 있는 행위만으로도** 죄가 성립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즉, 두 사람이 서로 합의하고 특정 가격에 입찰을 하면서 경쟁을 조작했다는 점에서, 이미 입찰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를 했다는 것이 인정되었습니다. 이 판결은 과거 유사 사건의 판례(92도3395, 87도2646)를 참고했으며, 법원은 "담합행위가 이루어진 순간, 이미 공정성을 해치는 위험성이 생겼다"고 판단했습니다. ---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들은 자신의 행위가 **실제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예를 들어, 실제 낙찰된 가격이 예정단가보다 낮아졌고, 사업자 측에 유리한 결과가 나왔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입찰 단가가 낮아졌다는 것은 공정성을 해치지 않았고, 오히려 이익을 줬다"는 점을 들어 **처벌이 부당하다**고 상고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공정성 해치는 위험성이 있으면 충분하다"고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이 사건에서 결정적인 증거는 **두 피고인 간의 담합 내용을 입증하는 증언과 기록**입니다. 구체적으로, 두 사람이 서로 **입찰 단가를 합의하고**, 실제 그 단가로 입찰에 참여했음을 입증하는 증언이 있었습니다. 또한, 두 사람이 경쟁자가 아닌 ‘합의자’였다는 점도 증언을 통해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증거를 바탕으로 법원은 "이 사건은 단순한 경쟁이 아닌, 계획적인 담합"이라고 판단했습니다. ---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법원은 **담합 자체만으로도 입찰방해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위험성이 있는 행위**는 법적으로 문제가 됩니다. 예를 들어, A와 B가 서로 합의하고, A는 100만 원, B는 120만 원으로 입찰에 참여하기로 했고, A가 낙찰을 받는다면, 이는 담합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실제로 낙찰자가 이익을 얻었는지 여부보다,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 자체가 죄**가 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대부분 사람들이 오해하는 점은, **"담합을 했어도 실제 손해가 없으면 문제가 아니다"**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판례를 보면, **공정성 해치는 위험성이 있다면 충분히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공정성을 해친 결과가 나와야 처벌받는다"는 것도 오해입니다. 법원은 "담합 자체가 **위험성이 있는 행위**"이며, 그 위험성만으로도 처벌할 수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즉, **공정한 경쟁을 방해하려는 의도 자체가 죄**가 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는 **징역 10년 미만**의 형이 선고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두 피고인에게 징역 3년에서 5년 사이의 형량이 부과되었고, **형량은 담합의 정도와 경중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법원은 "담합 행위가 실제로 경쟁을 완전히 무효화하지는 않았지만,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를 한 점은 명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공익에 대한 위협이 있었고,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징벌적 효과**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입찰 시장의 공정성을 강하게 보호하려는 법원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과거에는 "담합을 했어도 결과가 나쁘지 않았다면 처벌하지 말자"는 흐름이 있었지만, 이 판례를 통해 **담합 자체가 죄**라는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특히, **공익과 경쟁 원칙을 지키기 위한 법적 근거**가 명확해졌고, 관련 법정에서는 **담합 행위에 대해 더 엄격한 태도**를 보이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판례는 **공공 입찰뿐만 아니라 민간 입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선례**입니다.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는 **결과가 유리하더라도 처벌받을 수 있다**는 점이 사회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도 **공정성을 해치는 담합 행위는 엄격히 처벌**될 것입니다. 이 판례는 "담합 자체가 죄"라는 기준을 세웠기 때문에, 앞으로도 비슷한 사건에서는 **담합이 있었는지 여부**가 핵심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A와 B가 서로 합의하고, A는 낮은 가격으로, B는 높은 가격으로 입찰에 참여하기로 했고, A가 낙찰받았다면, **이 역시 담합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담합을 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증거**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담합 의도가 있었는지**, **공정성을 해치는 위험성이 있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례가 늘어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입찰 과정에서 꼼수를 쓰는 행위는 법적 위험**이 크기 때문에, 더 이상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