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떠올리지 못한 사기, 하지만 왜 처벌 안 받았을까? (93도1839)**


**내가 떠올리지 못한 사기, 하지만 왜 처벌 안 받았을까? (93도1839)**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법인 대표이사가 개인의 허위 건축 실적 증명서를 첨부하면서 임대주택용지를 분양받으려는 시도를 했던 사례입니다. 그는 한국토지개발공사 부산지사에서 분양하는 택지를 얻기 위해, 자신이 건설한 공동주택의 실적 증명서를 제출했죠. 그런데 문제가 된 건, 그 증명서가 사실은 **허위**라는 거예요. 그는 울산시장 명의로 된 실적증명서를 제출하면서, 1981년부터 1985년 사이에 9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그런 건설 실적이 없었습니다. 이 사실은 검찰 진술서와 관련 증거를 종합하면 분명히 드러났어요. 하지만 그가 택지를 분양받는 데는 실패했죠. 왜냐하면 경쟁 신청자가 없어서, 결국 그는 **단독으로 수의계약**으로 택지를 분양받게 됐습니다. 그는 사기를 친 것으로 보였지만, 법원은 그의 행위가 **사기죄**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이 사건에서 **사기죄의 구성요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사기죄는 "타인을 기망하여 착오에 빠뜨리게 하고, 그 착오로 인해 재산적 처분을 하게 해서 재물을 편취하는 행위"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 문제가 된 건, **기망 행위**와 **처분 행위**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다는 점이었어요. 즉, 피고인이 제출한 허위 실적 증명서가 결국 **택지를 분양받는 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거죠. 법원은, 택지를 분양받는 데에는 경쟁 신청자가 없었고, 그로 인해 수의계약 방식으로 분양이 결정되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피고인의 허위 증명서는 **결정 과정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한 거예요.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자신이 **사기를 친 적이 없다**고 주장했죠. 그는 택지를 분양받는 데에는 경쟁 신청자가 없었고, 자신이 제출한 실적 증명서가 사실은 **분양 결정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말했어요. 또한, 자신이 법인의 대표이사로서 분양 신청을 했고, 그 과정에서 **개인 실적 증명서를 사용한 것**은 맞지만, **그 실적이 법인의 자격 요건과는 무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즉, 피고인은 “나는 사기를 쳤지만, 그 사기가 실제로 택지를 얻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처벌이 부당하다**고 말했죠.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이 사건에서 결정적인 증거는 **허위 건축 실적 증명서**였습니다. 피고인이 제출한 울산시장 명의의 실적 증명서는 **1981년부터 1985년 사이에 9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죠. 하지만, 이 실적 증명서는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검찰 진술서와 관련 문서를 종합하면, 피고인이 실제로는 그런 규모의 공동주택을 건설한 적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죠. 또한, 부산지사의 용지과장인 한진홍이라는 증인의 증언을 보면, **법인의 자격 요건에는 개인 실적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즉, 피고인이 제출한 실적 증명서는 **분양 신청의 자격 기준과는 무관했다**는 게 밝혀졌죠.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처벌받지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쟁 신청자가 있었고, 그 신청자들을 빠뜨리기 위해 허위 자료를 제출했다면**, 사기죄로 처벌될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이 사건처럼, **경쟁 신청자가 없어 허위 자료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경우**, 법원은 **사기죄의 구성요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어요. 또한, **허위 자료를 제출한 행위 자체는** 다른 범죄, 예를 들어 **허위 공문서 작성·행사죄**로 처벌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즉, 사기죄는 아니더라도, **다른 법적 책임**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해요.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은 흔히 **"허위 자료를 제출하면 무조건 사기죄다"**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사건을 보면, **사기죄는 ‘기망’과 ‘처분’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성립**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즉, **허위 자료를 제출했다고 해서 무조건 사기죄가 성립하는 건 아닙니다**. 그 자료가 실제로 **타인을 기만하고, 그 기만으로 인해 재산적 처분을 하게 했어야** 해요. 또한, **허위 자료 제출 자체도 범죄**일 수 있으니, 단순히 사기죄만 생각하는 건 오해일 수 있어요. 사기죄는 **결과에 따른 범죄**이기 때문에, **실제로 피해가 발생했거나,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사기미수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사기죄로는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하면서, **사기죄의 법리를 잘못 적용했다**고 판단했죠. 결국, 피고인은 **사기미수죄로 유죄**였지만, **사기죄로는 무죄**가 되었습니다. 사기미수죄는 **사기를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경우**를 말하는 것이고, **형량은 일반 사기죄보다 가볍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 **사기미수죄도 결국 무죄**로 결론났습니다. 왜냐하면, **피고인의 행위가 처분행위와 인과관계가 없었기 때문**이죠. 결국, **피고인은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습니다**. 허위 자료 제출 자체는 범죄일 수 있지만, **이 사건에서는 사기죄나 허위 공문서 범죄도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사기죄 판단 기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즉, **사기죄는 단순히 허위 자료를 제출했다고 해서 성립되지 않으며**, **실제로 기망하고 처분을 유발해야 성립**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죠. 이로 인해, **법원에서는 사기죄 판단 시에 ‘인과관계’를 중시하게 되었습니다**. 즉, **허위 자료 제출 자체가 범죄일 수 있지만**, **그 자료가 실제로 피해를 유발하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야 사기죄로 인정**됩니다. 또한, **허위 자료를 제출한 행위 자체도 법적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이 사건은 **법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되었고**, **사기죄의 구성요건 해석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한다면, 법원은 **사기죄 판단 시에 ‘인과관계’를 중시**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경쟁 신청자가 있었고, 허위 자료로 인해 분양이 결정된 경우**, **사기죄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높아요. 반면, **경쟁 신청자가 없고, 허위 자료가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 경우**, **사기죄로 인정받기 어려울 수 있어요**. 또한, **허위 자료 제출 자체는 다른 범죄**로 처벌될 수 있으므로, **사기죄가 아닌 다른 범죄로 책임을 묻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결국, **사기죄는 단순한 허위 자료 제출이 아니라**, **그 자료가 실제로 피해를 유발하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야 성립**합니다. 이 사건은 **법원이 사기죄 판단 시에 ‘결과’와 ‘인과관계’를 중요하게 보는 사례**로, 앞으로도 유사한 사건에서 **중요한 판례로 인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