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상사가 시킨 일인데, 나는 왜 범죄자라는 판결을 받았나? (98도662)


직장 상사가 시킨 일인데, 나는 왜 범죄자라는 판결을 받았나? (98도662)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전주시의 한 군청에서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군청 직원 150여 명이 군의회 의원들의 정당한 회의 진행을 막기 위해 동원된 거예요. 사건의 중심에는 군청 내무과장과 부군수가 있었죠. 이들은 군의회가 군수를 불신임하려는 결의안을 채택하려 하자, 직원들을 동원해 의원들이 회의장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았습니다. 더욱 충격적인 건, 의원들이 소회의실에 들어가 회의 진행을 하려 하자 직원 50여 명이 다시 난입해 회의장을 점거해버린 거예요. 이 모든 일이 군청 직원의 '직무집행'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더욱 논란이 되었습니다. 과연 이 행위가 법적으로 허용될 수 있었을까요? ---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이 사건에서 군의회 의원들의 회의 진행이 적법하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지방자치법상 군의회는 군수에 대한 불신임 결의를 할 권한이 없지만, 회의 자체는 적법한 절차를 거친 것이므로 회의 진행 행위는 합법적이었습니다. 법원은 특히 "회의 의결사항 중 일부가 권한을 넘어간다고 해도 전체 회의가 불법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즉, 회의의 목적이나 절차 자체에 문제가 없으면, 일부 내용이 권한을 넘었어도 전체 회의는 인정된다는 거죠. 또한, 군청 직원들이 동원된 행위는 '공무 외의 집단행위'에 해당하며, 이는 지방공무원법에 위반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다중의 위력으로 회의장을 점거한 행위는 '폭행'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 측은 "군수 불신임 결의는 법적 효력이 없다", "직원들이 회의장을 막은 행위는 직무집행의 일환이었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특히, 직장 상사(내무과장, 부군수)의 지시에 따라 행한 행동이므로 개인적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직무집행이라는 명목으로 위법한 행위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명확히 했습니다. 또한, "직원들이 다수 모여 집회를 방해한 행위는 공무원법에 명시된 '공무 외의 집단행위'에 해당한다"고 반박했습니다. ---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가장 결정적이었던 증거는 군청 직원들의 구체적인 행적과 증언이었습니다. 법원은 구내방송을 통해 직원들을 소집한 기록, 회의장을 막은 직원들의 수(150여 명), 소회의실에 난입한 직원들의 수(50여 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습니다. 또한, 피고인들의 공모(공동 행위)를 입증하는 증거도 중요했습니다. 내무과장과 부군수가 직접 직원들을 동원해 회의장을 점거하도록 지시한 사실이 확인된 거죠. 법원은 "이러한 행위들이 계획적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단순한 직무집행이 아니라 의도적인 방해 행위임을 인정했습니다. ---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이 판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직장 상사의 지시에 따라 위법한 행위를 해도 무조건 면책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만약 당신의 직장 상사가 불법적인 목적으로 동료들을 동원해 특정 행위를 시키고, 그 결과 법적 분쟁이 발생한다면, 당신은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공무원이나 공공기관의 직원이라면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직무집행'이라는 명목으로 불법적인 행위를 정당화할 수 없기 때문이죠. ---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1. **"직장 상사의 지시에 따라 했다면 책임이 없다"** - 법원은 "상사의 지시라도 불법 행위에는 책임이 따른다"고 판단했습니다. 2. **"소규모 방해 행위라면 문제없다"** - 다중의 위력(수십 명의 직원)을 동원한 행위는 '폭행'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3. **"의회의 권한을 넘어간 결의는 무효다"** - 회의 자체는 적법하면 일부 내용이 권한을 넘어가도 무효가 되지 않습니다. ---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피고인들은 공무집행방해죄, 주거침입죄, 폭력행위 등 처벌법률 위반으로 기소되었습니다. 구체적인 처벌 수위는 원심(전주지법)에서 결정되었으며, 대법원은 이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대법원은 특히 피고인 2(내무과장)에 대해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는 등, 처벌의 엄정성을 유지했습니다. ---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공무원의 직무집행 범위를 명확히 한 중요한 판결입니다. 특히, "직무집행이라는 명목으로 불법적인 행위를 정당화할 수 없다"는 원칙을 확립했습니다. 또한, 공무원들의 '집단적 불법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준 사례입니다. 만약 공무원이 특정 정치적 목적이나 개인적 감정으로 직무권한을 남용한다면, 법적 책임을 면치 못할 수 있다는 교훈을 주었죠. ---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이 판례가 있다면, 향후 유사한 사건에서 법원이 더 엄격하게 판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공무원이 정치적 목적이나 특정 이익 집단의 압력에 따라 직무권을 남용해 다른 공무원의 정당한 업무 진행을 방해한다면,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공무 외의 집단행위"에 대한 기준이 명확해져, 공무원들의 기강 유지와 공정한 직무 집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