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믿은 사실이 거짓이라면... 명예훼손으로 처벌받을까? (96도2234)


내가 믿은 사실이 거짓이라면... 명예훼손으로 처벌받을까? (96도2234)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한약업사와 한약업사 자격 취득을 원하는 위원회, 그리고 정치인과의 복잡한 관계가 얽힌 흥미로운 사건입니다. 1983년 한약업사 자격시험에서 불합격한 83명의 한약업사 자격취득대책위원회가 formed되었습니다. 이 위원회는 한약업사 자격 취득을 위해 행정소송을 제기하기 위해 변호사를 선임했습니다. 당시 위원회 고문 지용규는 위원회 회원들에게서 money를 모아 변호사 수임료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소송이 패소하자, 위원회는 정치적인 도움을 받기 위해 당시 대통령후보 김영삼의 아들인 김현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습니다. 위원회는 김현철에게 도움을 청했고, 김현철은 이충범 변호사를 통해 도움을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 취임 후에도 별다른 성과가 없자, 위원회 회원들은 지용규에게 money의 사용처를 추궁했습니다. 지용규는 곤경에 처하게 되었고, 결국 1993년 1월 말, 위원회 회원들에게 어음을 사채시장에서 바꿔서 정치자금으로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언론인 피고인에게 전달되었고, 피고인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대통령비서실에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이후 피고인은 기자회견에서 "1억 5000만 원을 정치자금으로 김현철과 이충범에게 주었다"고 발언했습니다. 이 발언이 문제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의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핵심은 피고인이 해당 사실을 허위임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었습니다. 형법 제309조 제2항에 따르면, 허위사실적시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려면 피고인이 허위사실을 적시함에 있어 그 사실을 허위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즉, '범의'가 있어야 합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지용규의 말을 진실한 것으로 믿었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은 1994년 2월 4일 이충범 변호사와 지용규의 추궁을 받았지만, 여전히 자신의 발언이 허위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피고인이 허위사실임을 인식하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자신의 발언이 허위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지용규의 말대로 어음이 정치자금으로 사용되었다고 믿었고, 이를 근거로 진정서를 제출한 것입니다. 피고인은 또한 자신의 발언이 명예훼손의 목적이 아니라, 공익을 위해 한 발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피고인의 발언이 허위사실임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는 피고인의 발언과 그 발언이 기반이 된 지용규의 주장이 사실과 다름을 증명하는 증거였습니다. 법원은 지용규가 어음을 정치자금으로 사용했다는 주장이 허위임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피고인이 이충범 변호사와 지용규의 추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발언을 철회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피고인이 허위사실임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만약 당신이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했다면, 형법 제309조에 따라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범의'가 있는지 여부입니다. 즉, 허위사실을 알고서 발언한 경우에만 처벌받습니다. 만약 당신이 해당 사실을 진실한 것으로 믿었다면,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법원의 판단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many people think that any false statement can lead to defamation charges. 그러나 형법은 '범의'를 요구합니다. 즉, 허위사실을 알고서 발언한 경우에만 처벌됩니다. 또한, 공익을 위한 발언은 명예훼손죄에서 예외로 다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법원의 판단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허위사실임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판단되어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피고인은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만약 명예훼손죄가 성립했다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사건의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기준을 명확히 했습니다. 즉, 허위사실을 적시함에 있어 그 사실을 허위임을 인식해야 처벌받는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판례는 공익을 위한 발언과 명예훼손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법원이 공소장 변경 없이도 더 가벼운 죄를 인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similar events may occur, but the court's judgment will depend on whether the defendant knew the statement was false. If the defendant believed the statement was true, they may not be convicted of defamation. However, if the defendant knew the statement was false and made it with the intent to harm the other person's reputation, they may be convicted of defamation. The court will consider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case to make a judgment. 따라서, false statements should be made with caution, and if you are unsure about the truth of the statement, it is better to refrain from making it.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