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브랜드를 사는데도 범죄자가 될 수 있다? (96도2191)


진정한 브랜드를 사는데도 범죄자가 될 수 있다? (96도2191)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의 주인공은 한국에서 폴로(POLO) 로고가 부착된 티셔츠를 수입해 판매한 피고인입니다. 그는 이 티셔츠들이 미국에서 정식으로 제조된 진품이라고 믿었지만, 실제로 이들은 중국 등 저임금 국가에서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으로 만든 위조품이었습니다. 피고인은 이 제품을 한국에 수입해 판매했지만, 문제는 한국에서 폴로 상표의 전용사용권을 가진 회사(일경물산)와 미국의 폴로 로렌사 사이에 특별한 관계나 품질 차별화가 없었다는 점입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상표권 침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품질과 출처의 차이**: 국내 전용사용권자가 판매하는 제품과 해외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품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출처가 동일한 것이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2. **독점적 이익 우려**: 국내 전용사용권자와 해외 상표권자 간의 계약 관계 외에는 특별한 관계가 없어, 독점적 이익을 꾀할 우려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3. **병행수입의 한계**: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병행수입이 허용되려면 제품의 품질과 출처가 동일한 경우여야 하지만, 이 사건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 법원의 결론이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자신의 행위가 합법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주요 주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진정상품 오인**: 수입한 제품이 진품이라고 믿었다고 주장했습니다. 2. **병행수입 허용**: 해외에서 정식으로 판매되는 제품이므로 병행수입이 허용된다고 믿었다고 주장했습니다. 3. **범의 조각**: 범의(범죄의고의)가 없으므로 처벌받을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이 피고인의 주장에 반박할 수 있던 결정적인 증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제품의 실제 제조처**: 피고인이 수입한 제품이 중국 등 저임금 국가에서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으로 제조된 위조품이라는 증거가 확보되었습니다. 2. **국내 전용사용권의 존재**: 일경물산이 폴로 상표의 국내 전용사용권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해당 상표를 부착한 제품의 독점적 판매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3. **피고인의 조사 미비**: 피고인이 전문가 자문을 구하지 않고 임의로 진품이라고 판단한 점입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비슷한 상황에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 조건이 충족되면 상표권 침해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1. **전용사용권의 존재**: 해당 상표의 국내 전용사용권자가 존재할 때입니다. 2. **위조품 수입**: 해외에서 정식으로 판매되지 않는 위조품을 수입할 때입니다. 3. **범의 인정**: 위조품임을 알면서도 또는 알 수 있는 상황에서 수입할 때입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이 사건에서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해외에서 산 것이면 다 진품이다"**: 해외에서 판매되는 제품이라도 위조품일 수 있습니다. 특히 저임금 국가에서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으로 제조된 제품은 위조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병행수입이 허용된다"**: 병행수입이 허용되려면 제품의 품질과 출처가 동일한 경우여야 합니다. 단순히 해외에서 판매되는 제품이라고 병행수입이 허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3. **"범의가 없으면 처벌받지 않는다"**: 범의를 조각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합법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단순히 "모르겠다"는 이유만으로는 범의가 조각되지 않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상표권 침해죄로 기소되었습니다. 상표권 침해죄의 처벌 수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형법상 벌금 또는 징역**: 상표권 침해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2. **민사상 배상**: 피해자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한 배상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1. **전용사용권 보호 강화**: 국내 전용사용자의 권리를 강화하여, 정식 라이선스 없이 상표를 부착한 제품의 유통을 막는 데 기여했습니다. 2. **병행수입의 한계 명확화**: 병행수입이 허용되는 조건을 명확히 하여, 위조품 유통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3. **소비자 보호**: 소비자가 진품인 줄 알고 구매한 제품이 위조품인 경우, 소비자 보호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판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전용사용권 검증**: 제품의 정식 수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용사용권의 존재를 철저히 검증할 것입니다. 2. **제품 출처 확인**: 제품의 실제 제조처를 확인하여 위조품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3. **전문가 자문 필요성**: 임의로 판단하기보다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 합법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이 판례는 상표권 침해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태도를 보여주며, 소비자나 사업자가 상표권 침해에 대한 법적 리스크를 인지하고 주의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