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비디오테이프에 북한 영화가 있다? 이걸로 체포당할 수 있대요... (97도2084)


내 비디오테이프에 북한 영화가 있다? 이걸로 체포당할 수 있대요... (97도2084)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의 주인공은 유학을 마치고 독일에서 귀국한 한 내국인입니다. 그는 반국가단체인 북한공산집단의 지령을 받고 국내로 들어왔습니다. 이 지령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분야의 동향을 파악해달라"는 내용이었죠. 피고인은 이 지령을 받고 귀국한 후, 여러 가지 활동들을 했습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북한에서 제작한 영화들이 담긴 비디오테이프를 취득하고 소지한 점입니다. 검찰은 이 비디오테이프들이 이적표현물이라고 주장하며 피고인을 기소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의 진술과 관련 증거들을 종합해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첫째,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가 증거능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피고인이 공판정에서 진술의 진정성립을 인정했기 때문이죠. 둘째, 피고인의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가 충분하다고 보았습니다. 간접증거나 정황증거도 보강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셋째, 국가보안법상의 잠입죄가 성립한다고 보았습니다. 피고인이 반국가단체의 지령을 받고 귀국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비디오테이프에 담긴 내용이 이적표현물인지에 대해서는 다르게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비디오테이프의 내용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판단한 원심을 비판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습니다. 첫째, 검사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다투었습니다. 둘째,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셋째, 국가보안법상의 잠입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넷째, 비디오테이프가 이적표현물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피고인은 비디오테이프의 내용이 북한의 대남선전, 선동 내용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첫째, 검사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입니다. 피고인의 진술이 임의로 되었다는 의심할 만한 사유가 없었습니다. 둘째, 피고인의 자백과 관련한 보강증거입니다. 간접증거나 정황증거도 보강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셋째, 피고인이 반국가단체의 지령을 받고 귀국한 증거입니다. 넷째, 비디오테이프의 내용이 이적표현물인지에 대한 증거입니다. 법원은 비디오테이프의 내용을 직접 확인하지 않은 원심을 비판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당신이 같은 상황에 처할 수 있는지 여부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첫째, 반국가단체의 지령을 받고 국내로 들어왔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이적표현물을 취득, 소지한 내용과 그 내용이 이적성 여부입니다. 셋째, 당신의 행동이 국가의 존립, 안전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협하는지 여부입니다. 만약 당신이 이러한 행위를 했다면, 국가보안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디오테이프의 내용이 이적표현물이 아닌 경우에는 처벌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북한에서 제작한 영화가 모두 이적표현물이라고 생각하는 점입니다. 하지만, 영화의 내용이 북한의 대남선전, 선동 내용이 아니라면 이적표현물이 아닙니다. 둘째, 반국가단체의 지령을 받고 국내로 들어왔지만, 국가기밀을 탐지, 수집하지 않았다면 처벌받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미 잠입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셋째,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가 부족하면 무죄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점입니다. 하지만, 간접증거나 정황증거도 보강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비디오테이프가 이적표현물이 아니라고 판단한 부분은 파기되었습니다. 따라서, 피고인은 국가보안법상의 잠입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피고인의 행위의 중대성, 동기, 결과 등을 고려해 결정됩니다. 만약 피고인이 국가기밀을 탐지, 수집했다면 처벌 수위는 더 무거워졌을 것입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다음과 같은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 국가보안법상의 잠입죄의 범위를 명확히 했습니다. 반국가단체의 지령을 받고 국내로 들어오는 행위가 잠입죄에 해당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둘째, 이적표현물의 판단 기준을 명확히 했습니다. 표현물의 내용이 국가의 존립, 안전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협하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셋째, 증거능력과 보강증거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했습니다. 간접증거나 정황증거도 보강증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첫째, 반국가단체의 지령을 받고 국내로 들어오는 행위는 잠입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둘째, 이적표현물의 판단은 표현물의 내용, 작성의 동기, 표현행위 자체의 태양, 외부와의 관련 사항, 표현 행위 당시의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셋째, 증거능력과 보강증거는 구체적인 사건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간접증거나 정황증거도 보강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은 이러한 기준에 따라 처리될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