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사 퇴직 후 기록부 안 쓰면 퇴직금 안 준다는 협박, 진짜 업무방해죄에 해당할까? (99고단469)


유치원 교사 퇴직 후 기록부 안 쓰면 퇴직금 안 준다는 협박, 진짜 업무방해죄에 해당할까? (99고단469)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2000년대 초반, 충남 보령시 한 유치원에서 일하던 A 교사는 1998년 2월 24일까지 담임교사로 근무했습니다. A 교사는 해당 유치원의 해님반 25명의 원아들의 생활기록부를 작성하고 제출해야 했으나, 이를 하지 않고 퇴직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A 교사는 유치원 측이 퇴직금을 434만 원을 3월 말까지 지급해 주기로 했으나, 이를 미루자 "퇴직금을 전액 받기 전에는 생활기록부를 작성해 줄 수 없다"고 거절했습니다. 유치원 측은 A 교사의 이 행동이 유치원 운영을 방해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A 교사를 업무방해죄로 고소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A 교사의 행동을 업무방해죄로 보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업무방해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기타 위계 또는 위력으로 사람의 업무를 방해한 경우"여야 합니다. A 교사가 생활기록부를 소극적으로 작성하지 않은 것은 사실 유치원 운영에 지장을 초래했을 수 있지만, 이는 "위계 또는 위력"으로 업무를 방해한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소극적으로 기록부를 작성하지 않은 것"만으로는 업무방해죄의 성립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A 교사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습니다. "유치원 측이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아서 생활기록부를 작성할 수 없었다." "생활기록부를 작성하지 않은 것은 유치원 운영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당하게 받을 퇴직금을 받기 위한 행동이었다." A 교사는 자신의 행동이 업무방해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이 결정적으로 참고한 증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 교사의 법정 진술: A 교사가 생활기록부를 작성하지 않은 이유와 유치원 측의 퇴직금 지급 지연을 설명한 내용. 2. 경찰 진술조서: A 교사와 유치원 측의 진술이 기록된 내용. 3. 공소외인(유치원)에 대한 경찰 진술조서: 유치원 측이 A 교사의 행동이 업무방해에 해당한다고 주장한 내용. 이 증거들을 종합해 법원은 A 교사의 행동이 업무방해죄의 성립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당신이 유사한 상황에 처할 경우, 업무방해죄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위계 또는 위력"이 있었는지 여부: 단순히 소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지 않은 것은 업무방해죄로 보기 어렵습니다. 2. 허위사실 유포 여부: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상대방의 업무를 방해하기 위한 의도가 있었다면 업무방해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3. 업무 방해의 정도: 업무에 지장이 초래되었는지, 그리고 그 지장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여부. 따라서, A 교사의 사례처럼 소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지 않은 것만으로는 업무방해죄로 처벌받기 어렵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이 사건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업무방해죄는 모든 업무 지장을 다 포함한다": 업무방해죄는 특정 요건을 충족해야 성립하며, 단순한 업무 지장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2. "퇴직금 문제와 업무방해는 무관하다": A 교사의 행동이 퇴직금 문제와 관련되어 있었지만, 이는 업무방해죄의 성립 요건과 무관하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3. "소극적인 행동도 처벌 대상이다": 소극적인 행동만으로는 업무방해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적극적인 방해 행위가 필요합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는 A 교사가 업무방해죄로 기소되었으나, 법원은 A 교신의 행위가 업무방해죄의 성립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A 교신은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1. 업무방해죄의 범위 명확화: 업무방해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특정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2. 근로자 권리 보호: 근로자가 정당하게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행위가 범죄로 처벌되지 않도록 하는 판례로, 근로자 권리 보호에 기여했습니다. 3. 유치원 운영 및 교사 관리: 유치원 측이 교사의 업무 수행을 강제하기 위해 퇴직금 지급을 지연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유사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법원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업무방해죄의 성립 여부: 상대방의 업무를 방해하기 위한 의도와 적극적인 방해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를 검토할 것입니다. 2. 근로자의 권리 주장: 근로자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행위가 범죄로 처벌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입니다. 3. 업무 지장의 정도: 업무 지장이 발생했는지, 그리고 그 지장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입니다. 따라서, A 교신과 유사한 사례가 발생할 경우, 법원은 해당 행위가 업무방해죄의 성립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할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