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가 조직폭력배였는데... 내가 몰랐다면 처벌받을까? (2003도5882)


내 친구가 조직폭력배였는데... 내가 몰랐다면 처벌받을까? (2003도5882)


대체 무슨 일이었던 걸까요??

1993년 어느 날, 제1시의 유흥주점들 사이에서 새로운 조직이 등장했습니다. 이 조직은 '제3파'라고 불렸는데, 이들은 기존의 '제1파' 조직원들이 주로 구성되어 있었죠. 이들은 단결력을 높이기 위해 통바지와 스포츠형 머리 스타일을 통일했고, 조직의 위계질서를 위해 상급자들이 하급 조직원들을 벌하는 등 엄격한 규율을 세웠습니다. 특히 1994년 6월 19일 밤, 이 조직은 제2시를 무대로 활동하는 다른 폭력조직 '제2파'와 대립하며, 흉기로 무장해 폭행을 가하는事件(제2사건)을 일으켰습니다. 이 사건 이후, 제3파는 더욱 단결력을 다지고 활동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그러나 1998년 조직의 두목인 공소외 1이 사망하면서 검찰의 조사 대상에 오르게 됩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원심(고등법원)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범죄단체의 정의**: 법원은 범죄단체는 특정 범죄를 목적으로 다수인이 조직된 계속적인 결합체여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2. **단체의 동일성**: 기존 범죄단체를 이용한 새로운 단체가 기존 단체와 동일성이 없다면 별개의 범죄단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3. **제3파의 실체**: 법원은 제3파가 기존 제1파의 젊은 조직원들이 검거되어 형사처벌을 받으면서 수사기관에 의해 편의적으로 명명된 조직에 불과하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제3파가 제1파와 동일성이 없는 별개의 범죄단체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습니다. 1. **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 피고인은 해당 범죄 당시 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 상태였다고 주장했습니다. 2. **조직의 실체 부인**: 피고인은 제3파가 별개의 범죄단체가 아니라 제1파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러한 주장을 배척하고 피고인을 유죄로 판단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이 결정적인 증거로 인정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1심 및 원심 채용 증거**: 제1심과 원심이 적법하게 조사·채택한 증거들을 종합하면 범죄사실이 인정된다고 판단했습니다. 2. **증인들의 증언**: 공소외 2와 공소외 28의 증언이 중요한 증거로 활용되었습니다. 특히, 제2사건 당시 제1파의 두목과 간부들이 제2파와의 분쟁을 폭력사태 없이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소외 1이 이를 무시하고 우발적으로 제2사건을 일으켰다는 증언이 중요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만약 당신이 다음과 같은 상황에 처했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1. **범죄단체 구성에 가담**: 범죄단체를 구성하거나 가담한 경우, 형법 제54조(범죄단체의 구성 등)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2. **폭력 행사**: 조직의 명령에 따라 폭력을 행사하거나, 흉기로 무장해 다른 조직과 대립한 경우,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4조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3. **은폐 행위**: 조직의 존재를 은폐하거나, 수사기관에 거짓 정보를 제공한 경우, 증거인멸죄(형법 제152조)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사람들은 흔히 오해를 합니다. 1. **조직의 동일성**: 기존 범죄단체를 이용한 새로운 단체가 항상 별개의 범죄단체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단체의 실체와 동일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2. **심신미약의 주장**: 심신미약 상태라고 주장해도, 법원이 이를 인정하지 않으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3. **편의적 명명**: 수사기관이 편의적으로 조직 이름을 명명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조직의 실체가 존재한다면 범죄단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피고인은 다음과 같은 처벌을 받았습니다. 1. **범죄단체 구성죄**: 원심은 피고인을 유죄로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2. **기타 범죄**: 제2사건으로 인한 상해죄 등에 대해 피고인은 이미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따라서, 피고인은 범죄단체 구성죄에 대해 추가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1. **범죄단체 구성의 기준 명확화**: 법원은 범죄단체 구성의 기준을 명확히 하여, 무분별한 범죄단체 구성죄 판결을 방지했습니다. 2. **수사기관의 역할**: 수사기관이 편의적으로 조직 이름을 명명하는 것을 경계하게 만들었습니다. 3. **조직범죄 대응**: 조직범죄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태도를 보여주어, 조직범죄의 예방과 단속에 기여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 것입니다. 1. **조직의 실체 확인**: 법원은 조직의 실체와 동일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무분별한 범죄단체 구성죄 판결을 방지할 것입니다. 2. **증거의 중요성**: 증인들의 증언과 증거의 신뢰성이 중요해질 것입니다. 수사기관은 조직의 실체를 입증하기 위해 철저한 조사와 증거 수집이 필요합니다. 3. **법원의 엄격한 태도**: 조직범죄에 대해 법원은 엄격한 태도를 유지할 것입니다. 따라서, 조직에 가담하거나 폭력 행사를 하는 행위는严重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조직범죄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태도와, 범죄단체 구성의 기준을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앞으로도 조직범죄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대응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