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log

(심리학) 구독이나 팔로워 수가 많은 계정이 더 신뢰받는 이유는?


Post Image

사회적 증거 원칙(Social Proof)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의견을 보고 자신도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심리적 개념입니다. 이 원칙은 특히 불확실한 상황에서 더욱 강하게 작용하며,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도 이렇게 하고 있으니, 나도 그렇게 해야겠다"라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이 원칙이 작용하는 사례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사회적 증거 원칙에 알맞은 여러 가지 사례를 소개합니다. 1. 레스토랑의 대기 줄 인기 있는 레스토랑 앞에 긴 대기 줄이 있으면, 사람들은 그 레스토랑이 맛집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더욱 가고 싶어 합니다. 줄을 서 있는 사람들 자체가 사회적 증거가 되어, 그곳에서 음식을 먹어야 한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입니다. 관광지에서 가게 매장 크기는 작으나 사람들이 항상 줄서 있는 가게는 뭔가 있겠지 하는 마음으로 사람들이 일부러 줄서서 사 먹기도 하듯 이런 심리가 작용한 결과겠죠. 2. 온라인 리뷰와 별점 온라인 쇼핑에서 제품을 구매할 때, 사람들은 제품의 별점이나 리뷰를 확인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리뷰를 남겼다면, 자신도 그 제품이 좋을 것이라고 믿고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리뷰와 별점은 많은 사람이 그 제품을 좋아하고 있다는 사회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3. TV 홈쇼핑에서의 "실시간 판매 수량" 홈쇼핑 프로그램에서는 종종 "현재까지 500개 이상 판매되었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사용합니다. 이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제품을 구매했다는 사실을 강조하여, 시청자들이 그 제품을 사야 한다고 느끼게 만듭니다. 4. 소셜 미디어 팔로워 수 소셜 미디어에서 팔로워 수가 많은 사람이나 브랜드는 더 신뢰받고 인기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사람들은 팔로워 수가 많은 계정을 더욱 신뢰하게 되며, 그 계정의 팔로우나 포스팅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5. 기부 캠페인 기부 사이트나 캠페인에서 "이미 10,000명이 기부했습니다!"라는 문구를 볼 때, 사람들은 자신도 기부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기부했다는 사실이 사회적 증거로 작용해, 더 많은 사람들이 기부하도록 유도합니다. 6. TV 시청률 "이번 주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라는 광고는 많은 사람들이 그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그 드라마를 봐야 한다고 느끼고, 시청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7. 제품의 "베스트셀러" 태그 온라인 서점이나 쇼핑몰에서 "베스트셀러"라고 표시된 책이나 제품은 사람들에게 이미 많은 이들이 이 제품을 구매했다는 사회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제품을 더 신뢰하게 되고, 구매하려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8. 호텔 예약 사이트의 "인기 있음" 표시 호텔 예약 사이트에서 "이 호텔은 지금 20명이 보고 있습니다" 또는 "마지막 예약 1시간 전"과 같은 알림은 다른 사람들도 이 호텔에 관심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이는 사회적 증거가 되어 사용자들이 그 호텔을 더 빨리 예약하도록 유도합니다. 9. 공연이나 콘서트의 매진 사례 콘서트나 공연 티켓이 매진되었거나 거의 매진되었다는 소식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그 공연이 가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그래서 티켓이 매진된다는 소문만으로도 더 많은 사람들이 그 공연에 관심을 갖게 되고, 티켓을 구하려고 애쓰게 됩니다. 10. 새로운 앱이나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수 "이 앱은 전 세계에서 100만 번 이상 다운로드되었습니다!"라는 문구는 많은 사람들이 이 앱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회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사용자는 이 앱이 유용할 것이라고 믿고 다운로드하게 됩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모두 사회적 증거 원칙이 어떻게 우리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사람들은 특히 불확실한 상황에서 타인의 행동을 참고하여 자신도 비슷하게 행동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 원칙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마케팅이나 설득, 사회적 관계 구축에 있어서 매우 유용합니다. 남들을 따라했을 때 손해 볼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어짐을 본능적으로 알고 자신이 잘 모르는 분야는 이처럼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결정을 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른 누군 가는 그 결정을 꼼꼼하게 따져보고 했을 것이라 믿는 것이죠. 이렇기에 이 전 포스팅에서 사람들을 가만히 놓아두면 남들을 모방한다고 말했던 부분이 이런 것입니다. 남들을 모방한다는 건, 여기서의 남들의 결정을 따라 하는 게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믿는 심리에서 나오게 되는 것이겠죠.

Blog Home Back to Post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