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에서 상사에게 괴롭힘 당한 사병들의 억울한 이야기 (2009도1166)


군대에서 상사에게 괴롭힘 당한 사병들의 억울한 이야기 (2009도1166)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군대에서 상사인 피고인이 사병들에게 가혹행위를 한 사건입니다. 피고인은 소속부대 행정보급관으로 근무하던 중, 사병들이 담배를 피운다는 이유로 여러 가지 가혹행위를 저질렀습니다. 예를 들어, 피고인은 사병들에게 강제로 코로 담배를 피우게 하거나,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약초를 씹어 먹게 강요했습니다. 또한, 다른 사병들에게 뜨거운 물이 담긴 종이컵을 발목에 올려놓거나, 이마 사이에 뜨거운 물이 담긴 스테인리스컵을 놓는 등 정신적인 고통을 주는 행위를 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를 군형법 제62조에 따른 '가혹행위'로 판단했습니다. 군형법 제62조는 직권을 남용하여 사람으로서는 견디기 어려운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가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훈계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범위를 초과하고, 피해자들의 인격권을 무시하며 비하하는 행위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뜨거운 물이 담긴 컵을 이마 사이에 올려놓는 등의 행위는 피해자들이 느끼는 정신적인 압박이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자신의 행위가 금연을 강조하거나 훈계를 할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러한 주장이 피고인의 행위가 그 훈계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범위를 초과하고, 피해자들의 인격권을 무시하며 비하하는 행위라고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피고인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로는 피해자들의 진술이 있었습니다. 피해자들은 피고인의 가혹행위로 인해 코가 따갑고 괴로웠으며, 약초를 먹기 싫어 거부했는데 피고인이 화를 내면서 강요했다고 진술했습니다. 또한, 뜨거운 물이 담긴 컵을 이마 사이에 올려놓는 등의 행위로 인해 정신적인 고통을 느꼈다고 진술했습니다. 이러한 진술들은 피고인의 가혹행위를 입증하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이 사건은 군대 내에서 발생한 가혹행위 사건입니다. 따라서 민간인이 동일한 행위를 저질렀을 경우, 군형법이 아니라 일반 형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군대 내에서 발생한 가혹행위는 군형법에 따라 처벌받게 됩니다. 민간인이 가혹행위를 저질렀을 경우, 형법 제274조에 따른 '폭행'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은 가혹행위가 단순히 훈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군형법 제62조는 직권을 남용하여 사람으로서는 견디기 어려운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가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훈계의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행위가 정당한 범위를 초과하면 가혹행위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법원은 피고인의 가혹행위를 군형법 제62조에 따른 '가혹행위'로 판단하고, 원심판결 중 유죄 부분 및 가혹행위에 대한 무죄 부분을 파기했습니다. 따라서 피고인은 다시 심리·판단받게 되었습니다. 처벌 수위는 피고인의 행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군형법에 따라 처벌받게 됩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가혹행위에 대한 법적 기준을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군대 내에서 상사가 사병에게 가혹행위를 저질렀을 경우, 군형법에 따라 처벌받게 됨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또한, 훈계의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행위가 정당한 범위를 초과하면 가혹행위로 판단될 수 있음을 사회에 알리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군대 내에서 상사가 사병에게 가혹행위를 저질렀을 경우, 군형법에 따라 처벌받게 될 것입니다. 또한, 민간인이 가혹행위를 저질렀을 경우, 형법에 따라 처벌받게 될 것입니다. 법원은 가혹행위가 훈계의 일환으로 볼 수 없는 경우, 그 행위를 가혹행위로 판단하고 처벌할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가혹행위는 엄격히 처벌될 것입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