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에서 일어난 비극, 내 실수로 누군가 다쳤을 때 법은 어떻게 판단할까? (2008도6940)


골프장에서 일어난 비극, 내 실수로 누군가 다쳤을 때 법은 어떻게 판단할까? (2008도6940)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골프장에서 일어난 안타까운 사고로 시작되었습니다. 피고인은 골프장을 방문해 게임을 즐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피고인이 치는 골프공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날아가 피고인 뒤 8미터 떨어진 경기보조원(캐디)에게 맞고 상해를 입힌 것입니다. 이 사고로 인해 경기보조원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습니다. 피고인은 이 사고에 대해 과실치상죄로 기소되었습니다. 과실치상죄는 의도하지 않게 남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에 적용되는 범죄입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이 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피고인이 과실치상죄를 저질렀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골프와 같은 개인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에게는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다른 사람이 다칠 수도 있으므로, 경기 규칙을 준수하고 주위를 살펴 상해의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이 아닌 피고인 뒤쪽에서 경기를 보조하는 등 경기보조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주의의무를 마친 상태였기 때문에, 피해자의 명시적 혹은 묵시적 승낙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자신의 행동이 경기 규칙을 준수하는 중에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피해자가 경기보조원으로서 통상 공이 날아가는 방향이 아닌 피고인 뒤쪽에서 경기를 보조하는 등 경기보조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주의의무를 마친 상태였고, 자신이 골프경기 도중 상해를 입으리라고 쉽게 예견하였을 것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피해자의 명시적 혹은 묵시적 승낙이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러한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법원이 결정적인 증거로 인정한 것은 피고인이 골프공으로 경기보조원을 맞혀 상해를 입힌 사실입니다. 법원은 채용 증거를 종합하여 피고인이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하던 중 피고인의 등 뒤 8미터 정도 떨어져 있던 경기보조원을 골프공으로 맞혀 상해를 입힌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또한, 피해자가 경기보조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주의의무를 마친 상태였기 때문에, 피해자의 명시적 혹은 묵시적 승낙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피고인의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네, 그렇습니다. 골프와 같은 개인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에게는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다른 사람이 다칠 수도 있으므로, 경기 규칙을 준수하고 주위를 살펴 상해의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주의의무를 현저히 위반하여 사회적 상당성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힌다면, 과실치상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가 경기 규칙을 준수하는 중에 발생한 사고라면 과실치상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가 경기 규칙을 준수하는 중에 또는 그 경기의 성격상 당연히 예상되는 정도의 경미한 규칙위반 속에 상해의 결과를 발생시킨 것으로서 사회적 상당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행위라면 과실치상죄가 성립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과실치상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과실치상죄로 벌금형이 선고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주의의무를 현저히 위반하여 사회적 상당성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저질렀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반의사불벌죄에 있어 피해자의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하는 의사표시나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의 철회는 제1심판결 선고 전까지 할 수 있는 것인바, 기록에 의하면, 피해자가 제1심판결 선고 전까지 피고인에 대한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하는 의사표시를 하였거나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하였음을 인정할 자료를 찾아 볼 수 없으므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들에게 주의의무와 사회적 상당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특히, 골프와 같은 개인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에게는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다른 사람이 다칠 수도 있으므로, 경기 규칙을 준수하고 주위를 살펴 상해의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또한,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가 경기 규칙을 준수하는 중에 발생한 사고라면 과실치상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오해를 바로잡았습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법원은 이 판례를 기준으로 사건을 판단할 것입니다. 즉,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가 경기 규칙을 준수하는 중에 또는 그 경기의 성격상 당연히 예상되는 정도의 경미한 규칙위반 속에 상해의 결과를 발생시킨 것으로서 사회적 상당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행위라면 과실치상죄가 성립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과실치상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자들은 항상 주의의무를 다해야 하며, 사회적 상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