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관리회 회장이 폭행 사건 공개,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았지만... (2008도6342)


건물관리회 회장이 폭행 사건 공개,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았지만... (2008도6342)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이 사건은 반포프라자 건물관리회 회장이었던 피고인이 결산보고회에서 전 관리회장이 체납관리비 분쟁으로 자신을 폭행하여 유죄판결을 받은 사실을 알린 사건입니다. 피고인은 2007년 4월 27일 결산보고 회의실에서 고소인과 공소외인(이하 '고소인측')이 자신을 폭행한 사건의 형사재판에서 각 벌금 30만 원의 유죄판결이 확정되었다는 내용이 기재된 결산보고서를 참석 회원들에게 배포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고소인측의 폭행 사건에 대한 유죄판결을 알리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고, 왜 그렇게 본 걸까요?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으로서 형법 제310조에 따라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이 건물관리회 회장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고소인측의 폭행이 공적 업무 방해로 볼 수 있고, 이를 결산보고서에 기재하여 회원들에게 알린 행위는 건물관리회원 전체의 관심과 이익에 관한 것으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피고인의 행위는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지 않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피고인은 어떤 주장을 했나요?

피고인은 자신의 행위가 건물관리회원 전체의 관심과 이익에 관한 것으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피고인은 고소인측의 폭행이 단순히 개인에 대한 사적인 폭행이 아니라, 자신의 공적 업무 수행을 방해하는 행위로 보고 이를 회원들에게 알린 것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피고인은 고소인에 대한 개인적인 동기가 함께 개재되어 있더라도, 주된 동기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뭐였나요?

결정적인 증거는 피고인이 결산보고서에 기재한 고소인측의 폭행 사건 유죄판결 내용과, 피고인이 건물관리회 회장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고소인측의 폭행이 공적 업무 방해로 볼 수 있는 사실입니다. 또한, 고소인측이 폭행사실을 부인하면서 형사재판에서 이를 다투어 온 사실과, 단전·단수 등의 조치에 대해 피고인이 무혐의처분을 받은 사실도 중요한 증거로 작용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나도 처벌받을 수 있나요?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서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만약 당신이 비슷한 상황에서 공공의 이익이 아닌 개인적인 동기로 명예훼손 행위를 한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행위자의 주요한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점은?

사람들은 흔히 명예훼손죄가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고 오해합니다. 그러나 형법 제310조에 따르면, 공공의 이익을 위한 행위는 위법성이 조각되어 처벌되지 않습니다. 또한, 공공의 이익에 관한 행위란 널리 국가·사회 기타 일반 다수인의 이익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특정한 사회집단이나 그 구성원 전체의 이익에 관한 것도 포함된다고 합니다.

처벌 수위는 어떻게 나왔나요?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만약 공공의 이익이 아닌 개인적인 동기로 명예훼손 행위를 한다면, 처벌 수위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명예훼손죄의 처벌 수위는 벌금 또는 징역형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 판례가 사회에 미친 영향은?

이 판례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행위가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지 않는다는 법리를 명확히 한 사례입니다. 이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진실한 사실 공표가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지 않음을 확립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또한, 이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행위와 개인적인 동기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공한 사례이기도 합니다.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하면, 법원은 행위자의 주요한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는지, 그리고 그 행위가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으로서 위법성이 조각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만약 공공의 이익을 위한 행위라면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인 동기를 위한 행위라면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블로그 홈으로 가기] [더 많은 글 보기]